한겨레신문에 실린 글이다.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658978.html

 

'1954년 시코쿠 에히메현에서 태어난 나카무라는 어린 시절부터 만화영화 <철완아톰>의 오차노미즈 박사(코주부 박사)를 동경하는 과학에 관심 많은 소년이었다. 그를 기억하는 고등학교 동급생 니시다 데쓰는 “나는 내 방식으로 공부할 거야”라며 공식을 쓰지 않고 수학·물리의 어려운 문제를 풀던 그를 기억한다고 회상했다. 대학 시절 스승이었던 다다 오사무 도쿠시마대학 명예교수도 그에게 “책을 읽지 마라. 책을 읽으면 고정관념에 빠질 수 있으니 스스로 생각하라”며 그를 격려했다.'

 

 

 

책을 읽지 마라....하루종일 입에서 맴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bina 2014-10-10 2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nama님처럼 다양한 책을 읽으면 고정관념에 빠질 염려는 없지 않을 까요?
고정관념에 빠진다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현대인들이 기를쓰고 기존의 지식을
학습하는 것은 참 아이러니지요.
책을 읽지 않고 내방식으로 문제해결을 한 노벨 물리학수상자, 일정 부분 천재성에
대한 보상같아 보이네요. 물론 열정과 노력의 결과이겠지만...
...갑자기 고등학교때 공포의 물리시간이 생각나서 무서웠던 물리 선생님이 지금
옆에 서계시는것 같아요 . ㅋㅋ

nama 2014-10-12 15:50   좋아요 0 | URL
배우는 즐거움을 가르치지 못하는 교사는 종종 그 무능함을 학생 위에 군림하는 무서움이나 엄격함으로 대신하기도 합니다. 중고등 시절, 그런 몇 분의 선생님이 생각나네요. 특히 군 출신의 교련선생님. 교사도 뭣도 아닌 뒷골목 꼬마대장 같았던 분. 그런 분에게서는 교사로서의 고민같은 게 느껴지지 않았지요. 지겨웠던 고등학교 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