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한솔뮤지엄에 갔다. 성인 둘, 고등학생 하나, 입장료만 65,000원 들어가서 처음에는 '뭐가 이리 비싸'했는데 한 바퀴 관람을 끝내고 나오면서는 마음이 뿌듯해졌다. 인생이 조금은 달라지고 즐거워진 기분이 들었다. 기대 이상이었다.
특히 제임스 터렐관이 그랬다. '몽환적이고 감각을 뛰어넘는 느낌을 주는 작품'이라는 설명을 온몸으로 느끼게 된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87793.html
10대인 딸내미의 거친 표현을 빌리자면 '약 먹은 기분'이 된다. 사진으로 남길 수 없어서 유감이다. 꿩 대신 닭이다. http://www.guggenheim.org/new-york/exhibitions/on-view/james-turrell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58.jpg)
뮤지엄 초입. 왼쪽으로 자작나무길이 이어지고 그 길로 계속 가면 뮤지엄이 나온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59.jpg)
일본의 유명한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설계한 뮤지엄 건물. 물 위에 떠있는 듯하다. 물을 공급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점이 문제로 보이긴 했지만, 멋지긴 멋지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0.jpg)
위의 건물에 이어진 담장 같은 부분. 역시 물이 인상적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9.jpg)
스톤 가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1.jpg)
개관전으로 종이에 관련된 문화재와 미술품을 소개하고 있는데, 위의 사진은 종이의 제작과정을 보여주는 자그마한 설치물이다. 옛 문화재가 아니니 사진 찍어도 괜찮겠지?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2.jpg)
미술관 내부. 아름답고 세련된 공간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3.jpg)
정원에 피어 있는, 무궁화 닮은 꽃인 부용화이다. 무궁화보다 훨씬 크다.
------다음은 법수치에서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4.jpg)
노랑망태버섯. 노랑 주방 수세미 디자인을 이 버섯에서 따오지 않았을까 싶다. 식용이라는데 먹어본 사람 얘기를 듣고 먹어볼 셈...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5.jpg)
이루어 질 수 없는 사랑, 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는 이 꽃....상사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6.jpg)
누리장나무,라는 이름을 드디어 알게 된 기념으로. 앞으로 널 기억하마.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4/pimg_787270183882667.jpg)
벌레 먹은 이파리도 그대로 예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