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위의 생
나쓰메 소세키 지음, 김정숙 옮김 / 이레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한 일주일, 남편은 하루 걸러 새벽 2시가 넘어서야 귀가하곤 했다. 닷새 째 되던 날 새벽 2시. 심사가 뒤틀려버린 나는 말 한마디 하지 않고 그저 서운한 눈빛을 던지고는 조용히 책 한 권을 펼쳐 들었다. 바로 이 책이다.

 

소설의 첫 장을 넘기기도 전에 강력하게 눈에 들어오는 글귀가 있었다.

 

" 이 세상에 끝나는 것이란 하나도 없다. 일단 한 번 일어난 것은 언제까지나 계속된다. 그저 여러 가지 형태로 모양만 바뀌는 것으로 남도 나도 느끼지 못할 뿐이다."

 

내 상황에 꼭맞다 싶었다. 단어만 하나 바꿔 넣으면 기막히게 내 얘기가 되었다.

 

" 이 세상에 남편의 음주가 끝나는 때라곤 한 번도 없다. 일단 한 번 마신 술은 언제까지나 계속된다. 그저 여러 가지 변명으로 모양만 바뀌는 것으로 남편도 나도 느끼지 못할 뿐이다."

 

구정 연휴를 앞두고 심란한 마음을 달래는 데는 재미있는 소설이 제격이다 싶어 이 소설을 도서관에서 빌려다 놓고는, 드디어 때가 되었다 싶어 손에 집어 들기는 했으나....

 

재미를 느끼기에는 이 소설이 너무나 현실과 닮아서 도무지 재미 따위를 찾을 수가 없다. 뫼비우스의 띠를 연상시킨다. 안과 밖이 따로 구분되지 않으면서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과정만 있을 뿐인 삶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읽다보니 나를 둘러싼 우리 가족이야기(남편의 음주는 해당되지도 않음)가 자꾸만 이 소설의 내용과 오버랩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뭐 비슷한 상황은 아니지만 평생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과정의 강도는 오히려 소설쪽이 더 내용이 빈약(?)하고 밋밋하게 생각되었다. 흔히들 그렇잖은가. 자신의 문제가 제일 크게 보이는 법이라고.

 

결국 반쯤에서 꼼꼼하게 읽기를 포기했다. 구질구질하고 마음이 늘 불편한 일상을 소설에서조차 되새겨보는 일은 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은 위안이 되지 않는다. 소설의 재미에 빠져 잠시라도 현실을 잊고 싶다는 내 열망이 불쌍하다 싶었다.

 

그러나 역시 나쓰메 소세키다. 1867년생인 이 작가의 이 소설은 지금 읽어도 전혀 옛날 얘기처럼 들리지 않는다. 신산한 일상이 현재의 모습 그대로이다.

 

그리고 제목. 제목인 <길 위의 생>이 쓸데없이 낭만적이고 호객용 표현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도 멋모르고 제목에 이끌려 이 책을 손에 집어들었는데 속은 기분을 떨칠 수가 없다. '길 위의 생'이라면 적어도 보헤미안 같은 인물이 등장해서 질펀거려야 되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드는 것이다. 물론 삶이라는 게 여러 의미의 길 위에서 펼쳐지는 걸 모르는 건 아니지만서도.

 

그래서 제목을 만들어보았다. '끝이 없는 삶'. 혹은 '사람 사는 일이 그렇지' 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