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1947/92/cover150/895559323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947/87/cover150/8955593244_1.jpg)
고전 중의 고전인 인도의 <마하바라따>가 드디어 나왔다. 예전에도 나오긴 나왔었다.
바로 이 책.
1994년에 발간된 이 책을 읽었었다. 2000년이 되기 전에 읽었으니 기억에 남는 건, 물론 없다. 단지 이야기의 뻥이 굉장했다는 것(시간과 공간의 스케일이 정말 어마어마하다)과 세상에 나온 모든 이야기의 할아버지 격이 바로 이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 엄청난 이야기들을 이 한 권에 실었으니, 사실, 이 책을 읽고 제대로 이해하기는 힘들었다. 이 책이 그나마 의미가 있었던 건, 아쉽지만 그래도 대강의 맛이나마 볼 수 있었다는 점일 터이다.
어제, 한겨레신문 토요판에 실린, 다섯 권으로 된 위의 책 소개를 보고 나는 하마터면 기절할 뻔했다. 이 책을 번역한 박경숙이라는 분을 소개한 기사가 읽을 만하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551780.html
박경숙이라는 분은 20년 간이나 이 책을 번역하는데 매달렸다고 한다.
다음은 기사 중에 나오는 부분이다.
....고대 산스크리트 고문헌들과 씨름한 끝에 <마하바라타>의 산맥을 넘었지만, 내처 인연의 힘으로 풀려나간 자신의 학문 역정은 언제나 물 흐르듯 편안했다고 그는 털어놓았다.
아, 이런 삶도 있구나. 한편으로는 농사를 지으면서 또 한편으로는 학문의 길을 묵묵히 닦았다는 사실에 부러움과 감탄이 절로 흘러 나왔다. 이렇게 자신의 길을 묵묵히 가는 사람들 덕분에 세상이 아름다운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러나 이 다섯 권이 전부가 아니라는데 나의 고민은 깊어져간다. 내년까지 10권이 나온다는데, 흠 언제 다 읽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