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친구들아.

올해는 매일 너희들의 얼굴을 마주하면서 사실 즐거움 보다는 괴로운 일이 더 많았단다. 굳이 예를 들지 않아도 잘 알거야. 점심시간의 급식판 사건, 수업시간에 떠들어서 수업 방해를 받는 일, 온갖 장난과 다툼으로 병원 신세진 친구들, 남을 괴롭히거나 때려서 잠시 가정에서 교육을 받고 온 친구들, 선생님들께 무례하게 대들거나 말대꾸를 해서 수업 진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 친구들, 교실이 털렸던 일, 억지 행동이나 흉내로 자신을 드러내려는 친구들, 점심시간에 남의 식판에 툭하면 젓가락을 들이대는 욕심 사나운 친구들, 교실 바닥에 종이를 마구 버림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려는 친구들, 자신에게는 단지 장난에 불과하나 다른 사람에게는 폭력이 되는 행동을 하는 친구들, 야한 농담으로 친구들을 웃기려는 행동을 하는 친구들, 남을 배려하기보다는 자신만을 생각하는 ‘나 뿐인’ 친구들, 입과 행동이 야수같은 친구들... 참으로 힘든 날들이었다.

그런 중에 처음부터 너희들을 괴롭히던 어떤 친구를, 참다못해 너희들 중 누군가가 그 친구에 대해 학교에 투서를 하는 사건이 있었다는 것, 너희도 다 알거야. 그런 일이 몇 번 있었지. 덕분에 그 친구에게는 개과천선하는 기회가 되어 요즘에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도 알거야. 학년 초의 그 철없고 건방지고 폭력적인 태도가 많이 수그러들었고 수업 태도도 좋아졌다는 것도 알거야. 그 과정을 겪으면서 그 폭력적인 친구도 몇 번의 눈물을 흘렸어야했어. 말하자면 마음 속 깊이 반성할 기회를 준거야, 그 편지들이. 누가 그 편지를 썼는지는 미스터리지만 하여튼 그 친구를 변화시키는 데는 큰 역할을 한 셈이지.

그런데 아직도 그 친구 때문에 고통을 당하는 친구가 있다면 더 이상은 참을 수 없단다. 그 친구의 버릇을 그대로 방치하면 결국은 너희들이 피해를 입는 거야. 만약에 아직도 그 친구(혹은 다른 친구들도 포함)가 때리거나 금품 갈취를 하고 있어서 더 이상 같은 학급에서 공부한다는 자체가 힘들게 느껴진다면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글로 써주기 바래. 담임인 내가 악동 같은 여러 친구들 때문에 나날이 괴롭고 피곤한데 너희들이라고 편할 날이 있겠냐 싶어. 너희들이 구체적으로 말해준다면 그에 합당한 처벌을 내리게 되겠지. 물론 학교 교칙에 의거해서.

담임선생으로서 너희들이 고통을 당하기 전에 미리 알아서 조처를 취하지 못해서 정말 미안하고 미안하다. 어떤 시인이 이런 말을 했단다. “한 그릇의 밥을 푸면서 한 알도 흘리지 말아야 하는 것이 교사”라고. 너희들 모두 모두가 정말 소중한 한 알이라서 한 알도 흘리지 말아야 하는 것을 오늘도 생각한다.

솔직하고 구체적으로 써주렴. 
 

***결과를 말해야겠다. 위 글을 프린트해서 아이들에게 나눠주고 뒷면에다 쓰고 싶은 말을 쓰게 했더니, 다른 친구에게 미안했던 일, 괴롭힘 당한 일, 수업 방해하는 친구들 얘기, 싸운 얘기 등등 하소연도 다양했다. 이것을 개인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를 하고 더불어 해당 학생에게 프린트를 해서 주었다. 요즘 아이들은 교사가 하는 말 쯤은 그저그렇게 신경질적으로 받아들여도 동급생인 친구들이 하는 자신에 대한 평가는 민감하게 받아들인다. 자신에 대한 평가를 아주 꼼꼼하게 읽으며 화를 내기도 하고 시인하기도 한다. 친구들의 평가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라고 생각할 기회를 주고는 그 여백에 해명의 글이나 억울함 혹은 변명 혹은 반성의 글을 쓰게 했다. 이 쪽지를 받은 열서너 명의 아이들은 하나같이 신이 나서(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열심히 읽고 열심히 글을 썼다. 이 진지한 모습이라니...교실 분위기가 펄펄 살아났다. 즉각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아이도 있었다. 눈빛을 반짝이며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는 결의에 찬 모습을 드러내는 눈부신 아이도 있었다. 대부분의 일방적인 반성문 보다는 훨씬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서 자주 하기는 힘들 것 같다.(2011.1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