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학부모로부터 전화가 왔다...어제 아들녀석 ㄱ이 같은 반(우리반) ㅍ라는 친구한테 무릎을 꿇고 빌었다며 흥분하고 있었다. 알아보니 녀석 ㄱ이 녀석 ㅍ한테 거의 한달 동안 침을 뱉었다고 한다. 말로 해결되지 않아서 참고 참은 끝에 그렇게 되었다고 하는 ㅍ의 말을 들어보니 이해못할 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주먹을 휘두르지는 않았으니까. 이 학부모는 지난 주에도 항의를 했었다. 조끼를 벌써 두 벌이나 잃어버렸다며 학교에서 얻을 수 없냐기에 이리저리 알아보고 조끼 한 벌을 구해주었었다.  

*엇그제 친정어머니를 새언니가 노인요양병원에 입원시켜드렸는데 아직 찾아뵙지 못했다. 엄마는 서운하신지 나와의 전화 통화도 거부하신다. 모처럼 일찍 끝나는 오늘 엄마한테 갈까 망설이며 (퇴근후) 집으로 향하는데 우연히 학부모를 만났다. 아들녀석 ㅎ이 ㅇ이라는 친구한테 괴롭힘을 당하고 있노라고, 가슴이 너무 떨려서 금식기도만 올리고 있노라고 내 손을 꼭잡고 하소연을 한다.  

그 엄마와 헤어져 고개를 푹 숙이고 가던 길을 계속 걸어가는데 마침 ㅇ녀석의 집이 근처였다는 게 떠올랐다. 그간 전화로 여러 차례 상담을 했었지만 아무래도 얼굴을 마주보고 얘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생각지도 않던 '가정방문'을 하게 되었다. '가정방문'은 사라진 옛 단어가 아니었으니...녀석 ㅇ는 문제가 많은 녀석이라 그 아버지나 나나 생각은 비슷했다. 오늘 이야기도 그간 전화 대화를 통해 이미 나누었던 내용이다. 결론이 나지 않는 얘기였다. 그 아버지가 걱정하는 건, 녀석에게는 죄책감이라는 게 없어서 앞으로 어떤 일이 생길지를 생각해보면 몸에 소름이 돋을 정도라고 했다. 내 의견은, 녀석에겐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 

다시 집을 향해 터벌터벌 걷고있는데 ㅇ녀석이 문자를 했다. "선생님 왜 우리집에 오셔서 잇는말 없는말 다하세요 제가 안할일도 하게 되잖아요" 이 문자를 그대로 좀전에 만나고 온 녀석의 아버지한테 문자 전달을 했다. 

문득 20여년 전, 순위고사 면접에서 면접관이 했던 말이 떠오른다. 선생은 모름지기 '선공후사' 를 실천해야한다고. 오늘은 모처럼 선공후사를 실천하며 요양원에 계신 엄마 병문안을 뒤로 미루었는데...씁쓸한 날이었다. 

* 요즘 학교체육대회에선 학급마다 반티를 맞춰 입는 게 유행이다. 우리반도 여학생들의 성화로 8,500원짜리 반티를 구입하게되었는데, 한 남학생이 끝까지 사지 않겠다고 버텨서 모두를 힘들게 했다. 목에 핏대를 세워가며 절대로 살 수 없다는 녀석의 그 뻔뻔함과 무례함, 안하무인을 참아가며 설득, 또 설득, 또 설득을 했다. 선생이란, 열번 스무번 사람을 가르치는 일임을, 그 고됨을 새삼 확인하는 작은 사건이었다. 그래도 이번엔 학부모에게 전화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으니 다행!................................(덧붙임) 다행은 무슨 다행. '한 남학생'이 아니라 세 녀석이었고 급기야 그저께 오전 6시부터 차례차례 집으로 전화를 걸고야 말았다. 할아버지가 받고, 아빠가 받고, 엄마를 바꾸고...에고...그 중 한 녀석은 끝까지 안 가지고 왔다고 잡아떼기에 보자마자 다시 집으로 되돌려 보냈다. 수업료 못내 집으로 돌아가던 가난한 시절도 아니고. 그런데 집으로 돌아가던 녀석이 5분 만에 돌아왔다. 주머니 속에 있는 걸 잊었었다나 뭐라나. 믿어야할지 말아야할지.(2011.10.18)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viana 2011-10-14 15: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뭐라 구박하면 당장 <아니 이 아줌마가 왜 이러셔>하면서 농담하듯 이야기 하는 중1짜리 아들이 있어요. 가끔 농담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섬뜩섬뜩했는데, 매일 학교에서 겪고 계실려면 남의 아이들이라도 힘드시겠어요.

nama 2011-10-14 23:13   좋아요 0 | URL
섬뜩섬뜩하다는 말, 사실입니다. 주책이랄까봐, 겉으로는 강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눈물도 많이 흘리지요. 사람 다루는 일이 참 힘듭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