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 오전 7시 30분에 집을 나서서 휴게소에서 아침 먹고 꽉꽉 밀리는 경부고속도로를 겨우 통과하여 청주에 도착하니 11시가 훨씬 넘었다. 누가 가라고 시킨 일도 아니니 불평불만을 품으면 안되는 일. 

옛연초제조창을 살려서 전시공간으로 꾸며 놓은 것도 신선하게 다가왔다. 건물이 크고 깊어서 작품이 다소 왜소해보이긴 하지만 그것도 생각하기 나름이고 보기 나름이다. 

하지만, 그러나, 작품만 있고 그 작품 옆에 당연 있어야 할 작가이름이나 작품명은 찾아볼 수 없었다. 있는 거라곤 수인번호 같은 번호와 한쪽 벽에 고고하게 붙어있는 QR 코드뿐.  스마트폰으로 작품 설명을 보라는 얘긴가 본데, 7년째 사용하고 있는 내 휴대폰으로는 도저히 감당 못할 일이다.

첨단으로 가는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기가 벅차다는 생각이 들다가 불끈 짜증이 나는 건 내 못난 탓?  

관람객중에는 나이 지긋하신 어르신들이나 어린이들도 많고 나처럼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들도 많은데, 이렇게 무시당하며 관람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물론 한쪽 구석에는 작품 도록이 긴 끈에 묶인채 대롱대롱 달려있긴하지만 일일이 책을 뒤적거려 볼 사람이 몇명이나 될까? 연신 사람들로 복작거리는 공간에서 말이다. 

무릇 공예라 함은 '손'으로 만든 작품을 일컫는 말일텐데 내 몸의 한계를 벗어난 이 첨단과의 괴리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는지... 이번 행사의 슬로건인 '유용지물'이란 단어를 내내 되씹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