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라닥 지방을 유명하게 한 사람 중의 한사람이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여사이다. 그의 책 <오래된 미래>가 청소년 필독도서로 자리 잡기도 했는데, 하여튼 라닥 지방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대개 그의 이 책을 읽고 가거나 들고 간다. 나도 예전에 이미 읽은 책이지만 여행 가방에 챙겨 넣었다.


나무 한 그루 자라지 않는, 공사장의 흙무더기 같은 황량하기 이를 데 없는 산으로 에워싸인 레(라닥 지방의 수도)는 이미 외국인 여행자들로 북적거리는 동네가 되었다. 이미 나부터가 그런 여행자 중의 하나가 되어 레를 오염시키고 있었으니 레에 머무는 나흘 동안 얼굴이 붓는 고산증과 더불어 묵직한 돌덩이를 하나 안고 있는 기분이었다.


말만 들어도 정겨운 자급 경제라는 용어. 이들은 병풍처럼 둘러싼 고산 꼭대기의 만년설이 녹아 흐르는 젖줄 같은 물로 세심하게 물길을 내어서 황무지에서 농사를 짓고 살았다. 의식주를 스스로 해결하며, 서로 얼굴 붉힐 줄 모르며, 서로 도와가며 늘 웃는 얼굴로 살았다는, 전설 같은 동네가 바로 이 라닥 지방이다. 지금은 낯선 이에게 던지는 “줄레,줄레”(안녕하세요, 같은 인사말)라는 인사말에서 그 희미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뿐이다.


자급자족의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을 그냥 두지 못해, 호기심 찬 눈빛을 번득이며 오늘도 여행자들은 라닥 지방을 휩쓸고 다닌다. 라닥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소위 문명이라는 세례를 받고 옛 모습을 하나씩 하나씩 벗어던지고 있다. 나는 뭘 보려고 왔나? 진짜 중요한 것들을 잃어가는 모습을 확인하려고 왔나? 이 그림 같은 삶의 원형이 사라지기 전, 마지막 관찰자가 되어 세상 저 바깥쪽으로 사라지는 것들을 안타까운 눈으로 바라본들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쓰레기를 하나 보탤 뿐이다. 




(위 사진) 높은 언덕에서 내려다보면 말로만 듣던 오아시스가 이런 모양임을 금방 깨닫게 된다.  

 

 

(위 사진) 레의 한 호텔에서 내다본 바깥 풍경이다. 새벽에 이 풍경을 바라본다면 틀림없이 외계라고 착각할 것이다. 세계의 비밀을 품고 있는 모습이었다. 참으로 별스럽고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달빛 어린 그 기막힌 풍경을 아무도 모르게 나 혼자만 살짝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