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하순 미술가족의 유럽여행
신하순 글.그림 / 성문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다른 사람이 해보지 못한 것을 했을 때나 보지 못한 것을 보았을 때는 입이 근질근질해지는 법이다. 그래서 세상에는 여행기가 넘쳐나는 법이리라. 나 역시 며칠 안되는 짧은 여행을 하면서도 그걸 기록으로 남겨서는 그걸 또 그대로 나 혼자만 간직하지 못하고 여기저기 아는 사람한테 혹은 여기저기 사이트에 올리곤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쩌랴. 여행 못가서 안달나는 거나 여행기 써놓고 보여주고 싶은 거나 거기서 거기인 것을. 

  유럽의 캠핑장은 매우 훌륭하다. 1993년도 나도 유럽 캠핑 여행(단체)을 하며 언젠가는 우리 나라도 그 비슷한 게 생기지 않을까 했는데 문화라는 게 그리 쉽게 바뀌는 게 아닌가보다. 역시 유럽인들은 확실히 놀 줄 아는 사람들이다. 자기네 땅이나 남의 땅이나 땅을 밟고 여유를 누리고 호기심을 만끽할 줄 아는 사람들이다. 한때 세계를 지배했던 조상의 덕을 많이 본 후예답게 그들은 노는 것에 거침이 없다. 

  잘 놀 줄 아는 땅에서 유학을 했던 지은이와 그 가족의 여행기를 읽자니 이런저런 생각이 일어나는데 그 생각이란 것이 참 퉁명스러워지더라는 게다. 부러움의 다른 표현인가?  

 이 책은 미술을 주제로 한 여행기이라서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적절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미술인답게 구석구석 그림을 그려 넣어서 그림 감상하며 책을 읽어나가는 재미도 있다.  

  캠핑카 여행도 그리 만만한 것은 아닐텐데 여행이 참 단조롭다는 생각이 든다. 여행지에서는 새로운 사람을 만나서 우정을 틔우기도 하는데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오랜만에 만난 가족이거나 지인이다. 물론 그것도 의미는 있다. 그리고 유럽이라는 데가 쓸데없이 남의 일에 참견하는 사람이 좀처럼 없는 데라는 것도 안다. 다 갖추어져 있지만 좀처럼 사람 냄새 맡기는 힘든 곳이 유럽이라는 것을 나도 여행을 통해서 알고있기는 한데 그래도 뭔가 부족한 걸 느끼는 건 어쩔 수 없다. 

  남편과 아내의 대화에서 남자는 늘 반말, 여자는 남편에게 존대말을 해야하는 것도 좀 짜증나는 대목이다. 그걸 반대로 표현한다면 걸작이 되지 않을까하는 쓸데없는 가정을 또 해본다. 

  그러나 나 같은 사람들도 이 책을 많이 사주고 읽어주었으면 한다. 이들 가족의 여행을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