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이맘 때 220만 원이 생겼다. 귀하고 귀한 돈, 함부로 쓸 수는 없어서 고심 끝에 책을 사기로 마음 먹었다. 때마침 낯선 동네로 이사했더니 도서관 이용이 심히 불편해져서 책을 구매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을 때였다. 이름하여 '프로젝트 220'. 시작일은 2024년 4월 30일.
책 구입 방법으로는,
1. 서점에서 직접 구입: 서점에서 서너 시간씩 책을 봤던 게 언제냐싶게 이젠 서점에 가면 불편하다. 매장 가득한 책을 보면 멀미 기운이 스멀스멀 올라오기도 한다. 그래도 여행지에서는 되도록 서점을 탐색해보려고하나 동행자 눈치보느라 여의치 않다. 다음은 한두 권 팔아준 서점들. 성적이 초라하다.
양양 대아서점, 속초 동아서점, 보령 미옥서원, 조지아 트빌리시의 백화점 내 서점, 뉴욕 모건 라이브러리, 곡성 들녘의 마음. 이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서점은 보령의 미옥서원. 원주의 뮤지엄 산을 연상시키는 원형 건물은 고상하면서도 도도하다. 다만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터덜거리는 버스 타고 다녀오기에는 많이 벅찬 곳에 자리잡고 있다.
2. 온라인으로 구입: 신간, 중고서적
3. 중고서점 이용: 직접 방문해서 신간 서적 되팔기와 중고서적 구매. 직장 생활을 할 땐 시간상 거리상 중고서점 이용이 어려워 책을 사기만했더니 이젠 처치곤란한 상태에 이르렀다. 이제는 읽고 싶은 책을 사서 빨리 읽고는 다시 보지 않을 책은 중고서점에 팔아치운다. 다행히 가까운 곳에 중고서점이 두 곳이나 있다. 이렇게 하니 적립금이나 예치금이 생겨 책을 살 때 도움이 된다.
정산을 해보니, 140권의 신간/중고책을 구입. 여기엔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주는 책도 포함돼 있는데 미미한 수준.
내겐 책을 읽는 건 사진 찍기와 비슷하다. 그럴듯해 보여 이것저것 카메라에 담지만 건지는 건 몇 장 안되는 것처럼 책도 비슷하다. 그 몇장은, 어떤 장면에 일순간 마음에 파문이 일면서 살짝 설레임이 생길 때, 그럴 때 찍는 사진은 건질 확률이 높다. 그리고 그럴 때는 사진을 여러 장 찍지 않는다. 딱 한 장이나 두 장. 필름 카메라를 찍던 버릇이다. 누가 알아주는 것도 아니고 어디에 내놓을 사진도 아니지만 뭐 그렇다는 얘기. 책도 마찬가지. 여러 권의 책을 접하지만 내 마음을 움직이는 책은 그리 많지 않다. 어떨 때는 책 한 권에서 새길만 한 문장 하나로 만족하기도 한다. 모두 책 쓰느냐고 심혈을 기울였을 텐데, 다만 좋은 독자이고자 노력하고 싶다. 도서관에서 수준고하 막론하고 맘 편하게 읽을 서적을 일일이 구매하다보니 원치 않는 낭비벽이 생기는 듯하다. 책 살 돈도 넉넉하겠다....어떤 돈인데...
거의 평생에 걸쳐 병원 신세를 져야했던 언니. 2022년에 별세한 언니가 남긴 건 병원비 환급금 670여 만 원. 동생 셋이 220만 원씩 나눠 가졌다. 아픈 돈이다.
140권의 책을 구매하고도 아직 57만 원이 남았다. 꼭 사고 싶은 책을 엄선하고 엄선해서 사야겠다고 다짐해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