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과 엄나무순, 머위순 철이 지나고 취나물 철이 되었다. 씨 뿌리고 가꾸지도 않은 자연산 나물 뜯는 재미가 쏠쏠하다. 친절한 이웃은 나물 이름과 쓰임새를 알려주고 심지어 자신이 알고 있는 자생지도 선뜻 가르쳐준다. 고마운 마음을 간직해야 한다.




참취. 마트에서 파는 취나물보다 향이 강한데 향기로 확인하면 된다.




미역취. 이파리가 길쭉하고 향은 밋밋하다. 된장국으로 끓여보니 시금치보다 맛나다. 아마도 미역을 구하기 힘든 시골에서 미역 대신 먹어서 미역취라는 이름이 붙었나보다. 




수리취. 일명 떡취. 떡해먹는 나물이다. 위의 취보다 잎이 훨씬 크고 잎뒷면이 하얗다. 참취 데칠 때 잎 두어 장을 함께 데쳐 나물로 무쳤는데 잎이 질겨서 껌처럼 씹히고 잘 삼켜지지 않는다. 떡으로 해먹는 이유를 알겠다. 쑥떡보다 맛있다고 하니 한번 기대해볼 만하다.


이밖에 곰취도 있고 병풍취도 있는데 내 손으로 채취할 수 없어서 생략한다. 취의 대왕은 단연 병풍취인데 대왕이 빠진 취나물의 세계가 좀 허전하다. 대신 다른 걸로.




척보면 알 수 있는 이름, 우산나물.




가파른 산에 올라야 만날 수 있는데 무리지어 있고 이파리가 실해서 수확량이 많다. 향이 약하지만 맛이 참신하다. 향보다 맛이 뛰어나다. 말로는 설명이 부족한, 먹어봐야 알 수 있는 맛.



산나물의 세계가 참으로 즐거운데 이젠 서서히 무릎이 아파오기 시작한다. 팔팔할 땐 이런 나물의 세계를 몰랐고 이제 좀 알만하니 내 몸이 따라주지 않는다. C'est la vi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23-05-07 0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곰취 곰취...하는 건 들어봤는데, 수리취 미역취 참취.
nama님 감사드려요. 사진만 봐도 좋네요. 이렇게 친절하게 가르쳐주시는 분이 계셔서^^

nama 2023-05-07 09:58   좋아요 0 | URL
벌개미취도 있어요. 이건 제가 먹어보지 않아서 그냥 넘어갔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