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생 처음 내 손으로 심은 파를 밭에서 뽑아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줄기보다 더 실한 뿌리를 차마 버릴 수 없어 깨끗이 씻어 말리기로 한다. 채반에 담아 햇볕에 널다보니 마음이 울컥거린다. 나는 파뿌리가 될 때까지도 살아남았는데...


2000년대 중반부터 원어민교사와 함께 수업을 진행했었다. 2~3주에 한 시간씩 배당된 원어민교사 수업이 처음엔 학생이나 교사에게 호기심과 기대를 자아냈으나 머지않아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고는 아무도 믿지 않게 되었다. 한국인교사에게는, 원어민교사가 수업을 대신해주니 교실 뒤에 서서 맘 편히 몸 편히 참관하면 그만이었고, 학생들에게는 그저 집중하는 척하면서 적당히 앉아 있으면 되는 부담없는 수업이었다. 게다가 수업은 흥미위주로 각종 게임이나 동영상 등 시험과도 전혀 관계없는 내용이었다. 할로윈이 다가오면 할로윈에 대한 유래 설명보다 할로윈 관련 단어를 찾는 word puzzle 따위를 하면서 적당히 시간을 때우곤 했다. 새로운 지식을 탐하지 않는 대부분의 아이들은 할로윈에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어쨌거나 학교 수업시간에 배우는 건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10대 아이들이었다. 간혹 긍정적인 관심을 보이는 아이들이 있어도 나 같은 고루한 선생은, 남의 나라의 축제에 불과할 뿐 우리와는 거리가 먼 문화라고 설명하면서 배움의 싹을 잘라버렸다. 시니컬과 시크를 넘나드는 건 선생도 학생도 매한가지. 그래서였던가. 인기라고는 없는 교사 생활은 고되기만 했다는.....


그러나 이런 과정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면 상황은 달라진다. 내가 어렸을 때 접했던 크리스마스는 어린 우리에게는 기대를 잔뜩 안고 기다려지는 축제였으나 우리 부모세대에게는 별 관심도 없는 다른 나라 문화에 불과했다. 마찬가지로 어려서부터 할로윈을 접한 세대는 기념해야할 축제가 되겠으나 그 부모세대는 아이들이 좋아하니 따라가줘야하는 행사가 되었다. 이 낯선 이방의 문화를 전파한 사람들이 원어민교사들이다. 그런데 좀 이상한 게 있다. 중고등학교 영어교과서는 일정한 틀이 있어서 학년별로 정해진 난이도에 따라 단어의 수와 문법요소를 고려해서 편찬하고 그 범위내에서 가르치게 되어 있는데 그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것을 맛보게 해주는 것이 바로 원어민교사들이 투입된 수업이었고 그것이 알게모르게 허용되었다. 어느새 이 낯선 문화가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다. 게다가 노는 것에 굶주린 아이들은 자신들만의 해방구가 필요했다.


어쨌거나 그게 하나의 흐름이라면 막기는 어렵다. 막기 어렵다면 따라가주면서 잘 안착되도록 보살펴줘야 한다. 그래서 행정안전부라는 것도 만들었는데... 행안부 장관이 누군지도 관심이 없었는데 장관님의 다음 말씀에 급관심이 생겼다.


"저희가 파악하기로는 예년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모였던 것은 아니고, 통상과 달리 경찰이나 소방 인력이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다."


아침밥을 먹다가 이상민 장관님의 저 말씀을 듣고 토할 뻔했다. 저 자리에서 고개를 깊이 숙이면서 '모든 책임을 통감하고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해도 시원찮을 판에 빠져나갈 구멍만 찾는 비루한 모습이라니.... 자리가 목숨보다 귀한 거군요, 당신에게는. 당신들에게는. 나나 당신들이나 까만머리가 파뿌리가 될 때까지도 살아남았는데 젊은 목숨들 사라지는 게 안타깝지 않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