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도서관에서 책을 쌓아놓고 읽었다. 게중에는 영운학의 기초가 되는 책도 있어서 매우 반가웠는데 알고보니 임용고시수험서였다. 정말 알찬 영문학 개론서였는데...아쉽다.

 

 

1.

 

 

 

 

 

 

 

 

 

 

 

 

 

나는 단아하고 세련되고 매끄러운 글을 참지 못한다. 예전에는 분명 이런 스타일의 글발에 감동하고는 한숨 짓거나 베껴쓰거나 그랬을 텐데 지금은 심기가 불편해진다. 이런 책은 도저히 끝까지 읽지 못하고 도중 하차하고 만다. 계속 읽다보면 동어 반복에 질리고 만다. 소위 말하는 매너리즘이 감지되면서 글의 내용이 마음의 밑바닥을 흔들지 못하고 겉돌고 만다.

 

그래도 한 문장은 건졌다고 생각했다.

 

'지도로 무장하면 여행자의 세계는 축소된다.'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여행의 기술>에서 인용했다 함.

 

 

그럴수도 있을 수 있겠지만, 여행이 낭만적일 수만은 없다. 지도로 무장해도 길을 잃고 방황하게 마련인 게 여행이다. 표현은 멋져보이지만 현실성 떨어지는 이런 문장에 이내 식상해지고 만다. 세련된 문장을 그냥 즐기면 되는 데 나는 그게 왜 안될까? 차라리 저 말을 인용하는 대신 지도 없이 길을 헤맨 경험을 이야기했다면 훨씬 이야기에 빠져들 텐데 말이다.

 

 

 

2.

 

 

 

 

 

 

 

 

 

 

 

 

 

 

착한 행동이라도 남을 위할 때는 몰래 해야 하거늘, 내가 옳다고 남의 잘못을 호되게 꾸짖으면 그 사람이 올바를 길로 들어설 것인가? '나쁜 사람'으로 낙인찍히는 순간 사람들은 대개 모욕을 느껴서 오히려 반항한다. '그래 나는 나쁜 사람이다. 그런 너는 얼마나 착하냐?' 그는 결국 마음으로 승복하지 않는다.

 

 

 

 

3.

 

 

 

 

 

 

 

 

 

 

 

 

 

 

 

 

나는 더 이상 앞에서도 뒤에서도,

희망이나 두려움을 보지 않는다. 

그저 감사하는 마음으로, 내가 발견하는 좋은 것을 취한다.

지금, 여기서 가장 좋은 것을.

 

-존 그린리프 휘티어(미국 시인, 노에 폐지론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