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클라마칸 사막만 보고 오는 줄 알았는데 초원에도 갔었다. 차창 밖으로 보이는 광경은 대부분 황량하기 이를 데 없는 이런 것이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3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3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3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36.jpg)
도저히 사람이 살 수 없는 이런 곳에도 나무를 심고 집을 짓고 마을을 가꾸고 삶을 영위하는데 그곳을 일컬어 오아시스라고 부른다. 우선 나무를 심어서 바람을 막아야 한다. 바람을 막고 집을 지어야 그 안에서 살아걀 수 있다. 나무는 심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우리가 하루 세 끼 밥 먹듯 나무에게도 때에 맞춰 매일 물을 줘야 한다. 사진으로 담지는 못했지만, 인공적으로 길가에 심은 나무 밑에는 검정색 물호스가 나무를 따라 그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땅바닥에 길게 뱀처럼 깔려 있다. 꽃 한 송이, 나무 한 그루 저절로 피어나지 않고 자라지 않는 곳에서의 삶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무거워진다. 겸손해진다. 나는 지금까지 나무 한 그루 심어서 가꾸어보았던가.
천산산맥 깊숙한 곳에 초원이 있었다. 빠리쿤 초원이라는 곳.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4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4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46.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47.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4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5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15/pimg_7872701831982949.jpg)
똥마저도 귀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