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은 책상이다
페터 빅셀 지음, 이용숙 옮김 / 예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상이 책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왜 책상을 책상이라고 부르는가. 변화를 바라는 노인은 책상을 책상이라고 부르고 싶지 않았다. 책상을 사진이라고 부르고 사진은 침대라고 부르고 침대는 의자라고 불렀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남들이 하는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되었음을 깨달았다. "침대에서 잤어."라고 누군가 말을 하면 그는 그것이 아주 우스웠다. 그에게는 "사진에서 잤어."라고 말하는 소리로 들렸기 때문이다. 더 안 좋은 일은 남들도 그가 하는 말을 알아듣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말을 하지 않게 되었다.

보편 타당한 것을 따르는 일은 중요하다. 그것은 사회에서 규칙을 지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언어는 중요한 규칙이다. 그것은 개인에 의해 바뀔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래서 변화를 원하고 변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고독하다. 아무도 알아듣지 못하는 언어로 떠든다는 것은 고통이고 치유되지 않는 병을 얻는 것과 같다. 하지만 가끔 우리는 생각을 한다. 책상이 꼭 책상이어야 하는 걸까. 그것이 침대가 되면 안돼는 걸까. 의자라고 불러도 상관없지 않을 까. 하지만 아무도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그것은 침묵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배우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속박하고 틀 안에 가둬서 가끔 몸부림을 치지만 결국 빠져나가지 못하게 옭아매는 지 모르겠다. 우리는 어찌할 수 없는 감옥에 살고 있다. 우리가 간수가 되어야만 하는 규칙의 감옥에...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그 간결한 내용 속에 들어있는 많은 함축적인 이야기에 놀랐다. 가벼운 동화책을 한 권 읽은 듯한 느낌을 주면서도 페터 빅셀은 나에게 끊임없이 생각을 요구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다 알았다는 듯 책장을 덮었지만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게 되었고 그때는 고개를 갸우뚱하는 자신을 발견하고 말았다. 아직도 나는 그럴 것이다 라고 추측할 뿐 그의 생각을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내가 책꽂이라고 부르는 곳에 모셔져 있는 이 책은 내게 무지를 알리는 거울로 아직도 나를 주시하고 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5-06-08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거 읽고 싶은데... 원래 찜해놓은건데 자꾸 미뤘죠.

물만두 2005-06-08 1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기 쉬운데 읽고 나면 무지 어려워요...

마냐 2005-06-08 15: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시작은 쉬운듯 한데....여운은 어렵군여...ㅋㅋ

물만두 2005-06-08 15: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이 머리속에서 뱅뱅@@ 돌아요^^;;;

stonehead 2005-06-09 1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상이 책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란 질문

흐음! 정말 쉽지 않은 질문이군요.

청맹과니가 당달봉사가 되기 위해 나불거리자면

첫째/책상을 진정으로 책상이게 해 주기 위해서가 아닐까?

이데 대한 데카르트의 증명인식은 좋은 실례일듯.
-세계의 모든 것의 존재를 의심하더라도, 의심을 하는 자신의 존재만은 의심할 수가 없더라. 그리하여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

둘째/ 당랑거철의 교훈에서 얻은 케세라 세라...ㅋㅋㅋ

이상으로 주절거렸습니다.

물만두 2005-06-09 1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저도 방금 케세라 세라 하고 왔어요^^ 우와... 스톤해드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