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마의 공놀이 노래 ㅣ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요코미조 세이시 지음, 정명원 옮김 / 시공사 / 2007년 7월
평점 :
요코미조 세이시의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에는 일정한 틀이 있다. 모든 작품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점이 눈에 뜨인다.
첫 번째 장소가 고립된 곳이다. 물론 시대적으로 도시가 아닌 시골로 들어가면 아무래도 폐쇄적이 될 수밖에 없겠지만 작가는 그것을 아주 극단적인 배경으로 이용한다. 그래서 그 장소가 섬이라든가 벽촌이이 된다. 여기서도 무대는 귀수촌이라는 지리적으로 고립된 마을이다.
두 번째 만화 김전일의 할아버지답게 그렇게 많이는 아니지만 마지막까지 살인이 이어진다. 그 뒤에 김전일처럼, 명탐정 포와로처럼 모두를 모아 놓고 자신이 알게 된 사실과 범인을 밝힌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긴다이치 코스케도 김전일처럼 여자를 좋아한다. 글래머 걸에 대한 그의 표현이라니...
세 번째 시간을 현재와 과거를 넘나들며 사건을 이어지는 연장선상에서 담아내고 있다. 흔히 전생의 업이라는 말을 하는데 과거가 족쇄가 되어 현재의 살인을 일으키는 도화선이 된다는 식으로 작품을 전개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에필로그의 화자로 등장하고 긴다이치 코스케를 귀수촌에 안내한 이소카와 경부가 쇼와 7년에 발생한 미해결 사건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긴다이치 코스케를 따라 내려와서 이십여 년이 흐른 뒤의 사건을 접하면서 그것과 연결 짓고 있다.
서양 추리소설에는 자주 등장하는 전래동요가 있다. 대표적인 동요가 마더 구즈인데 이것을 소재로 아가사 크리스티, 엘러리 퀸 등 여러 작가가 작품에 소재로 사용했고 아가사 크리스티는 세 마리 눈먼 쥐를 소재로 한 <쥐덫>과 ‘비뚤어진 사나이가 비뚤어진 길을 가다 비뚤어진 문설주 옆에서 비뚤어진 은화를 주웠네.’라는 자장가를 소재로 한 <비뚤어진 집>도 있다. 작가는 그것에 착안해서 일본적인 전승민요라는 것을 이용한 살인 사건의 트릭을 만들어 낸다.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옥호를 쓰기도 하고 얼마 전까지는 돈을 많이 버는 사람보다 어떤 농사를 짓느냐로 사람을 가리고 아예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은 농사짓는 사람에 비해 하위 계층으로 취급하던 귀수촌이라는 시골에도 새바람이 불어 촌장도 몰락하고 대대로 부자였던 유라 가도 몰락의 길을 걷고 신흥 가문으로 니레 가가 떠오른다. 그러자 어떻게든 일어나 보려던 유라 가에서 도시에서 온 사람과 손을 잡고 농촌 부업 사업을 했는데 그만 그 남자는 도망을 가버리고 거북탕의 작은 아들만 살해당하는 일이 벌어진 것이 이십여 년 전의 일이다.
이제 세월은 흘러 혼자 아들, 딸을 잘 키운 거북탕에 머물게 된 긴다이치 코스케는 촌장의 다섯 번째 부인이 다시 재결합하자는 편지에 대필을 하게 되고 밤길에 그 노파와 마주치기까지 한다. 그런데 그 노파가 온 날 이후로 촌장은 종적을 감췄고 거북탕 주인의 말로는 그 부인은 이미 사망했다는 것이 아닌가. 하지만 이것은 그다지 주목을 못 받는데 이 마을에서 탄생시킨 글래머 걸인 오조라 유카리가 오기 때문이다. 어쩌면 살인범의 자식과 살해당한 아버지가 있는 이들의 만남이 사건을 예고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런 으스스한 일이 있고 나서 유라 가의 딸이 이상한 형태로 살해당하는 일이 생기고 다음 날에는 니레 가의 딸이 또 이상한 형태로 살해를 당하는데 유라가의 가장 어른인 할머니가 그제야 그 마을에 예전에 불리었다는 공놀이 노래를 들려주고 그것을 촌장이 어떤 잡지에 실었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아이들이 공을 튀기며 부르는 노래와 촌장님 죽이기란 노래가 교묘하게 얽혀 작품은 긴다이치 코스케가 손을 쓸 틈조차 없이 그의 눈 앞에서 기묘하고 보란듯이 일어난다. 마치 그에게 도전장을 던지는 것처럼. 이 대담한 범죄에 모두 당황하고 휘둘리고 된다.
사건은 순식간에 일어나 독자를 사로잡고 긴다이치 코스케의 결말만을 바라는 지경에 이르게 하는데 마지막 결말이 참으로 비극적이라 이 작품이 다른 작품과는 차별되는 점이고 이 과거와 현재가 맞물리는 것이 교묘해서 지금까지 읽은 긴다이치 코스케가 등장한 작품 가운데 최고의 작품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여기에 긴다이치 코스케와 이소카와 경부라는 콤비가 홈즈와 왓슨처럼 느껴져서 이 기묘한 탐정과 경찰의 조화가 예전 작품에서는 몰랐는데 눈에 띄게 주목되는 점도 이 작품을 보는 또 다른 양념이 된다. 정말 순식간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빠져서 읽게 되는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