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도, 세상을 읽는 생각의 프레임 ㅣ 상상에 빠진 인문학 시리즈
송규봉 지음 / 21세기북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소위 말하는 길치인 나는 지도와 전혀 친하지 않는 삶을 살아왔다. 여행지에서도 지도보다는 누군가에게 길을 물어보면서 낯선 곳을 찾는 방식이 더 익숙했는데 이젠 거의 모든 사람에게 종이 지도가 예전만큼의 위력을 발휘할지는 의문이다. 이동하면서 충분히 길을 찾을 수 있는 도구인 스마트폰과 네비게이션이 보편화 된 만큼 앞으로 '지도'라는 단어가 후대의 사람들에게는 종이지도가 아닌 모바일 기기 속에 포함된 기능으로 인식될 확률이 크기 때문이다.
GIS분석가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는 지도가 비단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지도 하나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우리 몸 속의 이상징후를 첨단 기계를 통해서 명징하게 밝혀내주는 MRI와 CT또한 사람의 신체를 대상으로 한 지도일 수 있고, DNA 염기서열 또한 지도에 포함될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보았을 때 지도라는 것은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는 도구가 될 수 있고, 학제간 연구의 흥미로운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처럼 지도와 친하지 않은 독자가 이 책을 읽는다면 아마 누구나 놀랄 것이다. 지도라는 아이템 하나로 이토록 많은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게 경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책을 읽다보면 책의 주제와 부합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는 것은 사실이고, '기로'를 '귀로'라고 하는 등의 어이없는 오타가 책의 이미지를 충분히 깎아내릴 수 있을 것이다. (인문학의 중요성에 대해 거듭 강조하면서 무식하게 틀리는 맞춤법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것인지 황당할 따름이다.)
책을 읽고 난 후에는 지도가 그저 내가 생각한 지도 하나의 의미에 국한되지 않게 되었다. 넓게는 GPS와 GIS 등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었고, 세상을 읽는 세상의 프레임으로 지도만한 것이 없음을 절실히 깨닫게 되었다. 같은 공간이 시간이 변함에 따라 어떤 지도로 바뀌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세상의 변화를 절감할 수 있는 하나의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