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도노휴 지음, 유소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방안에 엄마와 이제 갓 다섯살 된 남자아이가 살고 있다.
두모자는 이 방안에서 밥을 해먹고, 잠을 자고, 함께 논다. 아이는 종종 엄마에게 젖을 달라고 조른다.
방에는 천장에 창문이 있어서, 아이는 가끔 그 높다란 창문으로 하늘을 바라본다.
언제나 방에서 지내왔기 때문에, 아이는 밖에 나가는 상상조차하지 못한다.
TV속의 세상은 모두 거짓말이고, 살아있는 사람은 엄마와 올드닉 뿐 모두 화면안에 존재하는 사람들이라 생각한다. 토끼도, 고양이도, 강아지도, 이 아이에게는 허구의 존재이다..
 
엠마 도노휴의 <룸>은 19살때 올드 닉이라는 남자에게 납치당해 7년동안 감금, 성폭행 당한 결과 아이를 낳아 기른 여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굉장히 끔찍한 일이면서도, 이 책이 서늘한 온도 뿐만이 아니라, 따뜻한 온도까지 갖는 것은 이 책의 화자가 어린아이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아직 부모의 곁에 있어야할 어린 나이에 감금당해 줄곧 세상과 단절된 채 폭행당해온 엄마에게 이 환경은 지옥일지도 모르겠지만,태어나 이 방에서만 존재한 아이에게는 이 환경은 세상이기 때문이다.
아이는 다섯살이 되고, 곧 여섯살이 될테고, 방은 점점 좁아질 것이다. 그래서 아이의 엄마는 아이와 함께 탈출하기로 하고, 탈출 계획을 세운다. 몬테크리스토 백작처럼, 죽은 척 하며 아이 먼저 세상에 내보내 도움을 청하게 한 후, 그들은 겨우 세상을 나올수가 있었다.
 
그런데 왜 일까? 아이는 세상을 좋아하게 되지 않았다.
TV속에서 보 듯, 세상에는 강아지도 있고 차도 있고, 지나다니는 사람들도 있는데, 아이에게는 너무나 낯설고 무서운 환경이었다. 엄마와 함께 한 방안의 세상보다 상상도 못할 만큼 커다란 세상과 창문틈으로 보던 하늘보다 어마무지하게 큰 하늘을 소년은 견딜수가 없다. 헷빛도, 처음보는 계단도 낯설기만 하다.
매주 일요일, 올드닉에게 선물을 부탁할 필요가 없다는 것 또한 이해할 수 없다. 돈을 가지고 있으면, 또는 그 아이에게 호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무엇이든 쉽게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용납하기 힘들다.
모든 것이 이 아이 잭에게는 거대한 용기가 필요한 모험이 된다.
지옥에서 드디어 뛰쳐나온 엄마는 엄마대로 온 세상이 혼란스럽다.
병원 밖에서 그들이 나오기만을 기다리는 매스컴. 성폭행 당해 낳은 아이를 재앙으로 생각하며 거들떠도 보지 않는 아버지. 몇년만에 본 가족은 저마다 새로운 가족을 꾸려 살고 있는 것 또한 힘겹다.
이상하게도, 아이가 세상에 적응되어 가고 있는 데, 엄마는 세상을 견딜수가 없어서 목숨을 끊으려고 한다.

무섭게도 실화를 소재로 다룬 이 소설 <룸>은 무서운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어딘가 따듯하고 아름답다.
다섯살 아이와 아직 젊은 엄마가 그들을 감금해 두었던 "방"에서 나와 세상으로 한발짝씩 나오는 이야기에 조금씩 응원하고 싶어지는 마음이 들었다.
그들에게는 그 방안의 세상이 안락한 곳이었을지, 탈출해 나온 방 밖의 세상이 안락한 곳이었을지 알수 없지만,
어느 곳에 있든, 자유란 소중한 것이라는 것을 다시금 생각해본다.
어린 아이의 시선으로 쓰여져 있기 때문에, 소재에 비해 자극성은 훨씬 덜하고, 어린 아이다운 발상과 어린 아이다운 문체로 쓰여져있지만, 다루고 있는 주제는 참 무거워서, 책을 보고 난 후에 한참 후유증에 시달렸다.
이 책을 보고난 사람이라면 누구나 마지막 그들의 "안녕"에 가슴이 먹먹해지리라 생각한다.

이런 무서운 이야기가 세상에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다.
이 책이 무섭다고 생각한다면 현실을 더 돌아봐야할 필요성이 있지 않나 싶다.
세상에는 더욱 무서운 일들일 넘쳐나고, 이 소설의 모티브가 되었던 실제 사건은 더더욱 참혹하기 그지없다. (이 책에서는 "올드닉"이라는 별명으로 불뤼우는 정체모를 남자로 묘사되어 있지만, 실제 사건에서 범인은 친아버지였다.)
사람은 극도의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는 도망치려 하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똑바로 바라봐야하는 것 아닐까.
세상의 끔찍한 일들도, 증오심에 불타오르게 하는 불의도, 모두 똑바로 바라보고 잊지 말아야하는 것 아닐까.
악행을 저지르는 것 만큼이나, 방관하거나 무시하는 것 또한 커다란 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