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실살인게임 - 왕수비차잡기 밀실살인게임 1
우타노 쇼고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이고 싶은 인간이 있어서 죽인 게 아니라 써보고 싶은 트릭이 있어서 죽였지"

최근 우타노 쇼고의 책들이 속속들이 발간되고 있는 가운데, 근작중 가장 장편인 <밀실 살인 게임>을 이제서야 읽게 되었다.
읽으면서 내내 고민했던 한가지.
이걸 어디까지 농담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이책의 다섯명의 주인공은 추리게임을 위해 인터넷 채팅방에 모여있다.
다쓰베이더 가면을 쓴 두광인, 얼굴이 흐릿해서 이목구비를 알아볼수 없는 044APD, 제이슨 가면을 쓰고 작은 장난감 도끼를 든 aXe, 카메라에 사람은 없고 거북이만 비추는 잔갸 군, 펑크머리에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한 반도젠 교수.
여자인지 남자인지, 젊은이인지 노인인지 중학생인지 알수 없는 이 다섯명의 주인공들은 채팅방에 모여서 "써보고싶은 트릭"을 이용한 살인 게임을 하고 있다.
누군가 한명이 사람을 죽이고 기묘한 트릭을 써서 살인자인 자신의 정체를 은폐한다.
살인자의 정체를 아는 것은 이 다섯명 뿐.
따라서 이들의 게임은 살인자를 맞추는 것에 있지 않고, 이 살인에 어떠한 트릭이 쓰였나 하는 점이다.

이 책을 보는 내내 이걸 어디까지 게임으로 받아들여야하고, 어디까지 도덕적으로 봐야할지 의구심이 들었다.
쉴세 없이 사람이 죽어나가는 추리소설에서 도덕성을 찾는 것이 이상하다 싶을지도 모르겠지만, 추리소설을 그야말로 소설로써 즐길수 있는 것은 소설 중 어디에선가 정의나 진실을 구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거나, 또는 주인공의 기이한 살인을 이해할수 있게 만드는 힘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책에는 그 어느 것도 없다.
정의도 없고, 진실도 없으며, 감정없는 살인이기 때문에 왜 살인을 하는지 이해할수도 없다.이들은 그냥 나와는 다른 인종처럼 보일 뿐이었다. 오로지 이게 이 소설의 존재이유라면 상당히 무서운 생각 아닐까.

그렇다고 이 소설이 재미없는 것은 아니다.
딱 우타노 쇼고의 소설처럼 적당히 박진감도 재기도 넘치고, 술술 잘 읽히는데다가 트릭들도 흥미롭다.
간간히 나오는 농담들이나 말싸움도 즐겁다. 그리고 마지막에 돌연히 등장한 트릭 또한 소설에 마지막까지 관심을 가지게 한다.
다만, 도덕적으로 거북한 면이 있기 때문에 완전히 재밌다고 느낄수 만은 없는 것이다.
이 책을 현실적으로 도덕성을 가지고 봐야하는 건지, 아니면 그저 추리게임 해볼래?라는 느낌으로 살짝 가볍게 받아들여야하는 건지 모르겠다.그 어느 쪽이라고 하더라도, 감정없는 살인들이 거북하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수 없다.
인터넷이라는 밀실에 갖혀서, 밀실 살인을 이야기하는 자신들에게 특권의식을 부여하고, 무고한 시민을 상대로 그저 실행해보고 싶은 트릭을 실행하기 위해 아무 감정없는 살인을 저지르는 이 사람들에게 나는 어떠한 감정을 가져야하는건지....
심지어 읽다보면 주인공들이 내가 인터넷에서 만난 누군가처럼 친근하게 느껴저서 더더욱 위험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지.
그럼에도 나는 2권을 또 집어들고 말았지만, 여러모로 알수 없는 소설이다.
3권까지 있다는데, 딱히 암흑계 작가는 아닌 우타노 쇼고가 무슨 생각으로 이런 일을 벌였을까 궁금해지기도 해서 계속 읽어는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 후에 도덕성이든, 작품성이든 얘기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