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이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야베 미유키는 내게 모범생같은 작가이다. 분명 그녀의 재능은 인정하고 어느 것을 읽어도 한심할 정도로 퀄리티가 떨어진 적이 없었어서, 그럭저럭 재미를 주긴 하지만, 어딘지 딱히 끌리지 않는-그런 작가가 미야베 미유키이다.
어쩌면 상당히 정공법을 쓰는 작가. 이렇게 정직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작가를 그닥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은 이유는 무언가 마음으로 팍! 파고드는 매력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까지 읽어온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은 거의 대부분 내게는 그렇게 느껴졌다.
그러던중, 약간 뒤늦게 읽게된 미야베 미유키의 에도시리즈중 단편을 모아놓은 <괴이>는 그럼에도 참 즐거운 소설이었고, 미야베 미유키를 다시 보게되는 계기가 되었던 소설이다. <괴이>를 계기로 그동안 좋았던 미야베 미유키를 다시 들게 되었고, 당연히 그녀의 에도시리즈를 모두 읽어보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괴이>는 일본의 민담이나 괴담에서 출발해 하층민들의 생활과 사연들을 들려주고 있다.
저마다 다른 이야기이면서 비슷한 느낌을 풍기는 이 단편들은, 어떤 때는 하인들이 보는 도련님이나 아가씨의 이야기로, 어떤때는 도깨비나 하녀의 이야기로, 대부분 고용살이를 하고 있는 하층민들의 눈에 비친 괴이쩍인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으면서도, 그것의 근거에는 삶의 기이함과 아련한 슬픔이 담겨있다.
요컨대, 흔하디 흔한 말이긴 하지만, 귀신보다 무서운 것은 인간이며 인간이 만든 세상이라는 이야기가 요점.
어쩌면 굉장히 독특한 이야기들은 아닌데도, 이 책이 참 즐거웠던 이유는 저마다의 이야기 저변에 깔려있는 아련함과 세상살이가 고단한사람들의 삶에 대한 따듯한 시선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특히 개인적으로는 <가을비 도깨비>같은 단편에서는 왠지 모르게 아련하고 막막해져서 눈물이 날뻔했다. 사람이 사람에게 전해주는 삶의 기이함과 잘못된 인생의 후회가 담겨져있는 단편이라, 마음이 저릿해졌다.  
<괴이>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들은 대부분 이런 이야기들인데, 완전히 색다르거나 깜짝 놀랄 정도의 반전이 있는 것도 아닌데도, 하나하나 꿰어내듯 읽어나가는 재미가 쏠쏠했다.

이런 일본 괴담소설집을 보면, 그것을 너무나 잘 활용하고 자연스럽게 현대로 이끌고 오는 일본인들의 꼼꼼함이 부러워진다.
우리나라에도 충분히 민담과 괴담이 많았을텐데도, 과거와 현재가 뚝 짤리듯 단절되어있는 느낌이라, 우리의 민담들은 훨씬 멀게 느껴진다.
이것은 역사적인 사건에 근거하기도 하겠지만, 너무나 급하게 세상을 뒤바꿔버리는 우리나라사람들의 조급함 또한 문제이지 않을까. 옛날 것은 옛날에 버렸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두고두고 언젠가 또 활용할수 있는 것임을,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잃어버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겨울밤, 마음이 따듯해지는 단편이었다. 결국은 괴이한 이야기들이니까, 여름에 읽었으면 괜찮았을 법도 한데, 묘하게 이 책은 겨울 밤에 어울린다는 느낌이 들어서, 읽는 내내 할머니에게 듣는 옛날 이야기같은 느낌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