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 눈
미야베 미유키 지음, 정태원 옮김 / 태동출판사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카파 노블스 50주년 기념으로 나온 50을 주제로한 이색적인 단편 모음집 <도박눈>은 우리나라에서도 꽤 잘알려진 (적어도 책이 한권 이상은 출간된) 작가들의 50에대한 저마다 다른 이야기들을 엿볼수 있는 책이다.
다나카 요시키(은하영웅전설 시리즈), 시마다 소지(점성술 살인사건 외 미타라이 시리즈), 오사와 아리마사(신주쿠 상어), 아야쓰지 유키토(십각관 살인등 관시리즈) 미야베 미유키(모방법, 화차 등등),요코야마 히데오(제3의 시효), 아리스가와 아리스(외딴섬즐), 미치오 슈스케(해바라기가 피지 않는 여름), 모리무라 세이이치(고층의 사각)- 이상 9명의 저마다 빵빵한 이력을 가진 작가들이 뭉쳐 만든 50을 테마로한 이야기들은 어떤 것일까?
희한하게도 이야기의 주제가 한가지도 겹치는 점이 없었고, 저마다 작가색을 아주 잘 살린 단편들이었던 데다가, 무엇하나 딱히 굉장히 재밌는 것은 발견하지 못했지만 그렇다고 뒤떨어지는 단편도 없었다. 전체적으로 어느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단편들이라, 읽는데도 편하고 즐거웠다.

아야쓰지 유키토-<절단>
50번의 칼질, 그리고 50개의 절단난 사체.
여기서 수상한 점이 무엇인지 눈치 채셨는가?
아야쓰지 유키토가 보여주는 50에 대한 이야기는 이런 것인데, 끝까지 다 보고나서 굉장히 서늘한 느낌이 드는 단편으로, 꿈같은 몽환적인 느낌도 드는 단편이었다. 이런 느낌까지는 괜찮았는데, 아무래도 아야쓰지 유키토는 나와 잘 궁합이 맞지 않는 작가일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그녀의 이전작 <키리고에 살인사건>을 보았을 때와 마찬가지로 느껴지는 지나치게 일본적인 어법들이 내게는 낯설고 납득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굳이 진실을 알필요 없는 주인공에게 강매하듯 진실을 알고싶지 않냐고 되묻는 의사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는 끝까지 알수 없었다. 나는 추리소설에서 이해할수 없는 행동들이 나오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아리스가와 아리스-<눈과 금혼식>
사이좋은 부부의 금혼식.
집에 더부살이하고 있던 홀아비 매제가 금혼식 이후로 죽은 시체로 발견된다.
탐정 아리스가와 아리스가 나타나 그 미스테리를 푸는 내용으로, 쉽게 잘 읽히기는 하지만 이렇다할 트릭은 그닥 존재하지 않았다.
소품격의 단편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그저 그런 느낌인데, 개인적으로 아리스가와 아리스의 장편에서도 이런 느낌을 받았던 것 같다. 약간 지나치게 이야기스러운 면이 있다는 느낌이랄까.

미치오 슈스케-여름의 빛
감도 50의 필름에 담겨진 이야기.
어느날 동네 개가 사라지고, 그 개를 죽였다고 의심되는 초등학생이 있고, 들개의 죽음의 진실을 쫓는 이야기.
주제에 끼워맞춘듯한 작위적인 느낌이 조금 들기는 하지만, 그럭저럭 나쁘지는 않았다. 하지만 작가의 뒷마무리 스킬은 조금 더 늘었으면 싶은 아쉬운 마음이 든다. 미치오 슈스케의 책을 읽어본 건 <섀도우>가 다 였는데, 다 좋다가 꼭 끝에서 망쳐버린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이 단편도 초중반은 괜찮다가 결말 부분으로 갈수록 작위적인 느낌이 들었다.

오사와 아리마사-50층에서 기다려라
도시전설처럼 내려져 오는 "용"이라는 인물에 대한 미스테리.
개인적으로 제목의 어감도 주제와 잘 어울리게 좋았고, 단편도 깔끔하게 떨어지는 맛이 있어서 좋았다. 이 작가의 작품은 이것밖에 읽어본적이 없긴 한데 <신주쿠 상어>도 언젠가 꼭 읽어봐야겠다는 느낌이 든다. 표현력이나 주제 선정에 있어서 자기만의 코드가 존재하는 느낌이다. 뭐라 표현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신주쿠+하드보일드+마초조폭+휘둘리는 청춘 이런것이 섞여있는 느낌이랄까.
하드보일드는 하드보일드인데, 다분히 일본적이고 적절히 경박하고 저속한 느낌이 드는데, 이 느낌이 나름 매력적이었다.

시마다 소지-영국 셰필드
IQ 50의 감동적인 성공기.
시마다 소지의 책을 보다보면 영국에 대한 동경같은 것이 느껴진다. 전혀 필요없다 생각하는데 이야기를 영국 셰필드까지 끌고갈 필요가 있었을까?싶으니.
어쨌거나 이 이야기는 IQ가 50밖에 되지 않는 한 소년이 역도선수로 성공하기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이야기자체는 그렇다 치고 이거, 미스테리 단편 모음집인데? 미타라이는 탐정이 왜 역도선수 소년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거지?????

다나카 요시키-오래된 우물
50대를 이어온 거대한 가문의 마지막 미스테리.
독특하게도 19세기 후반 영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오래된 우물>은 50대를 이어온 거대한 가문이 현재에 이르러 어떻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초반부가 약간 질질끄는 면이 없지 않아있지만, 결말이 괜찮았다.

미야베 미유키-도박눈
50개의 눈을 가진 도박눈을 50개의 강아지동상으로 무찌르다.
<50층에서 기다려라><절단>과 함께 이 단편집에서 가장 주제를 잘 살리고 있는 단편이 아닐까 싶다. 최근 이어져 오는 미야베 미유키의 기담 시리즈와 비슷한 느낌이 나는 <도박눈>은 작품 자체에서 대단한 미스테리를 찾을수 있는 것도 아니고, 이야기 자체가 굉장히 독특한 것도 아니다. 다만, 옛날에 있었던 기담을 듣는듯한 재미를 안겨주는 단편으로, 역시 괜히 미야베 미유키가 아니군!하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괜찮은 단편이었다.

모리무라 세이이치-하늘이 보낸 고양이
50엔짜리 우표가 알려주는 진실.
50과는 그닥 상관없지만, 모리무라 세이치의 소설을 참으로 오랜만에 읽어본 것 같다.
돈을 벌러 상경했다가 짐을 도둑맞고 갈데없는 청년, 페티시즘에 대한 굉장히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속옷 도둑, 우연히 줏어기른 고양이를 주인에게 돌려주어야하는 노숙자. 세명의 시선이 번갈아가며 한 여자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파해지는 내용인데, 결말이 너무나 작위적이라 실망했다. 개인적으로 모리무라 세이치를 좋아하는데도, 초반, 중반까지 긴장감넘치게 이끌고 나가던 기괴한 인연의 곡선들이 결말에 와버리면 뚝 끊겨버린 느낌이다. 으아..중반까지는 진짜 재밌었는데....아쉽다.

요코야마 히데오-미래의 꽃
다가올 50년에도 축복을!
참 안정적인 필체를 가졌다고 생각하게 되는 작가이다. 이 단편집을 마무리 짓는 단편으로 제격인 단편이 아니었을까?
나이 50이 된 검시관과 그에게 붙은 고쥬(50)라는 별명. 경찰이 건네준 자료를 받아들고 미스테리한 사건을 밝혀내는 검시관이 등장하는데, 이런 코드는 뻔한데도 불구하고 뭔가 마음에 남는 것이 있다. 단서들만으로 추적하는 본격추리소설과는 달리, 인물의 마음과 그에 따른 행동을 예측하며 결론을 내놓는 검시관의 태도가 참 따뜻하게 느껴지면서도 설득력있었다.

개인적으로 <미래의 꽃><50층에서 기다려라><도박눈>이 이 책에서 가장 재밌었던 단편들이다.
단편들마다 호불호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아주 뒤떨어지는 면은 없는 단편들이었고, 기본적으로 편안하게 읽을수 있는 가독성의 갖춘 단편들이었기 때문에 이 책 자체의 느낌은 무척 좋았다.
이런 깜찍한 기획 단편집이 또 있을라나. 잘 만들어진 기획물을 읽는 것은 꽤나 즐거운 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