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늘상 안개가 껴있는 가상의 도시 무진시.
한 가족의 무능력한 아버지 강인호는 아내의 알선으로, 청각장애인 학교 자애학원의 임시교사로 채용되었다. 흐릿한 안개속에서 들리는 비명소리, 멍하게 과자를 먹으며 길을 묻는 목소리에 놀라 달아나던 여자아이. 어딘가 그로테스크하기마저한 자애학원의 첫인상은 교장의 말 한마디에 정체를 드러낸다.
채용된 교사에게 돈을 내라는 교장의 말에 순간적으로 역한 증오감이 몰려오면서도, 서울에 두고온 아내와 딸 생각에 섣불리 반항을 할 수도 없다.
공지영의 소설 <도가니>는 그렇게 시작해서, 마무리도 그렇게 끝난다.
누가 봐도 분명한 죄와 들끓는 증오감은 여기에 있는데, 그 마음속의 진심과 진실들은 현실에 발이 묶여버리게 된다.
첫 시작과 더불어, 이 소설이 풀어놓고자하는 이야기들을 대충 눈치챘기 때문에 다소 차분하고 담담한 심상으로 읽어가려고 했다.
현실이라면 감정부터 앞설 일이지만, 물론 현실을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이기는 하나, 소설은 어디까지나 가상이라는 전제하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상황을 조금 더 침착하고 이성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낫겠다 싶어서....

말 못하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일어난 끔찍하게도 비인간적인 범죄들을 저지른 것은 학교의 교장과 행정실장과 교사였다.
그럼에도 이러한 일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묵인되어 왔고, 또 앞으로도 묵인되어갈지도 모르는 상황을 만드는 것은 두 사람만이 죄를 저질렀을 뿐만이 아니라 관련된 인간 모두 죄를 저지르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교회 사람이기 때문에, 지역의 유지이기 때문에, 돈과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기 때문에, 내 동창이고, 내 고향 사람이고, 내 학교 선배이며 후배이기 때문에 명백한 죄앞에서도 "한번 봐주려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에.
그리고 당장 집에 아픈 사람이 있고, 병원비는 턱도 없이 모자라고, 아이 하나만 희생해주면 가족의 미래가 어느정도 보장 되기 때문에. 위험한 사건에 휘말리는 것이 못견디게 싫은 아내의 투정이 있기 때문에.
그리고 당장 내 일이 아니기 때문에.
묵인하면 내가 편하기 때문에.
방송국으로, 인터넷으로, 온 세상으로 퍼져버린 교육자들의 끔찍한 강간과 폭행들에 저마다 하나 둘씩의 이유로 발뺌하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점점 세상에서의 존재감이 희미해져버린다.

이것을 전적으로 누구의 탓으로 돌려야 마음이 편해지는지 모르겠다.
조금씩 모두 죄를 저질렀고, 그 방관과 묵인의 죄들이 모이고 모여서 이런 커다란 죄를 만들어냈는지도 모른다.
불편한 이야기를 바라보면서 보고있기가 괴롭고 짜증나서 책장을 덮어버리는 것 또한 나 편하고자하는 어쩔수 없는 이기심인 동시에, 또다른 방관과 묵인의 죄를 저지르는 셈이 되는 것 아닐까.
이 세상은 나만이 존재하지 않고, 내가 방관한 모든 것이 언젠가 내게 또 돌아올지도 모를 일인데, 내가 그 장애인이 아니라고 안심하고, 내 주위에 그런 사람이 없어서 안심한다면 이런 일은 언제까지고 되풀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당장 내가 어쩔 수 없어도, 적어도 정확히 똑바로 바라볼 수 있는 것부터가 이 개같은 세상을 조금 더 낫게 만드는 첫 걸음이 아닐까 하는 막연한 생각이 드는데, 그것조차 외면해 버리는 사람은 이 세상을 욕할 자격마저 잃어버리는 게 아닐까. 책을 보는 내내 적어도 내게는 상식이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이 인간인 이유를 잊어가고 있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지도 모른다.
아주 기본적인 상식, 사이코패스가 아닌 이상 누구의 마음에나 다 있을 법한 양심같은 건 동화속에나 등장하는 건지, 분명하게 돈으로 귀결되는 현실앞에서 거의 모두가 무너져 내려가는 것을 보고 있자니, 씁쓸하고 역겨워진다.
아이들에게 저질러진 죄는 그렇다치고, 그들의 상처를 보듬어주려는 노력조차 돈에 팔려가는 것이 과연 현실인지.
왜 이런 인간이 세상에 이렇게나 많고, 왜 이런 세상을 만든거냐고 물어봐도, 내게 신은 없기 때문에 대답해줄 사람이 없다.
금새 잊혀지고, 결국 돈많은 사람이 이겨버리는 세상에서 무엇을 바라고 살아야 하는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