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
모리 히로시 지음, 안소현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인간관계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라고 모리 히로시에게 묻는다면, 이런 책이 되돌아올 것이다.
고독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라고 모리 히로시에게 또 묻는다면, 이런 책이 또 되돌아올 것이다.
 
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
조금 더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
아주 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
그리고 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
더더욱 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
그저 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
아직도 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
조금 특이한 아이, 끝났습니다
 
이상의 오감도를 보는 듯한 요상한 목차를 가지고 있는 이 책 <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는 솔직히 말해서
소설로써의 재미는 거의 느낄수 없는 책이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소설을 읽는 것인지, 모리 히로시의 수필을 읽는 건지 도무지 알수가 없었는데,
묘하게도 중간에 그만두게 되지는 않는다.
특별한 재미가 없어도 계속 읽게된다.
이런 느낌은 이 소설속에서 주인공이 이상한 음식점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부터 계속 받는 느낌인데,
(미인이지만, 그다지 기억될만한 부분이 없다던가,
그런대로 맛은 있는데, 다시 먹고싶은 생각이 강렬하게 들게되지 않는 음식이라던가-
엄연히 멀쩡한 외형을 가지고 묘하게 기억은 잘 되지 않는 상태..)
모리 히로시 자체가 이런 느낌을 노린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소설의 주인공 교수 역시, 본인이 교수인 모리 히로시를 모델로 그려낸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소설의 주인공의 이야기를 읽고 어떤 사람인줄 알게 되듯이
작가 모리 히로시라는 인간 자체를 알게된 것만 같은 기분에 휩쌓이는데,
이런 류의 사람- 지식인이면서 어딘가 멍하고 세상과 동떨어져있는 듯한 분위기를 풍기는 인물은
모리 히로시의 대표작 <모든 것이 F가된다>의 주인공 사이카와 교수와도 무척 흡사한 분위기를 풍긴다.
 
고야마 교수는 어떤 음식점을 알려주고 어느날 사라져버린 이라키를 떠올리면서,
이 수상한 음식점에 들어서게 된다.
모든 주문은 전화로 이루어지고, 예약을 해놓으면 그쪽에서 손님을 데리러 오며,
갈때마다 장소가 바뀌고, 맛은 있는 편인데 묘하게 기억에 남지않는 음식과
미인인데도 불구하고 묘하게 기억에 남지 않아, 거리에서 마주친다면 모르는 사람으로 생각해버릴 여주인장.
식사할 때마다 매번 들어와 맞은 편에서 함께 식사를 해주는 우아한 식사예법을 가진 여인들.
음식점에 대해서 묻지 말것, 다른 손님의 정보를 묻지 말것,
매번 식사중에 들어오는 여자는 바뀌며, 추후에 만날 생각은 하지 말 것,
음식값은 혼자와서 매번 손님이 두사람 몫을 내며 늘 버려진 곳을 택해 손님을 끌어들이는 이상한 음식점.
혼자 밥을 먹으러 가서 두사람분의 음식값을 내고,
어떤때는 수다스럽게 일상을 털어놓고, 또 어떤 때는 거의 한마디도하지 않는 여자들과의 식사는
도대체 어떤 기분일지 모르겠지만, 소설속의 고야마 교수는 그런 시스템이 꽤나 마음에 드는 모양이다.
 
그래. 어찌보면 이 소설은 인스턴트 인간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하루에 몇시간 함께 있었던 여인들, 그녀들의 일상이나, 그녀들의 외향이나,
어느 것 하나 오래 기억되지 않는다.
허무한가?
아니, 소설을 보다보면, 인간관계의 일회성은 허무하다기보다는 당연스럽게 느껴진다.
고야마 교수처럼 순간순간 스쳐가는 인연에 대해 무척 유연한 사고를 가진 인간이 세상에 얼마나 되겠냐만은,
보는 내내 모든 것을 흐르는 물처럼 관조하며, 어떻게 되더라도 섭섭해하지 않는 모습이
꽤나 유동적이고 강한 사람으로 느껴져서, 조금 부러워졌다.
대부분의 사람은 인간관계에 있어 꽤 질척대며 집착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나 역시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고독을 사랑하는 사람은 절대로 자살하지 않는다고, 고야마 교수는 말한다.
어떻게 살든 인간을 끊임없이 따라다니게 되어있는 고독을 받아들이고 즐기는 것은
어느 단계에 이르러서는 자신을 좀 더 강하게 해준다는 것은 사실인 것 같다.
제목은 <조금 특이한 아이, 있습니다>이지만, 특이한 사람은 나오지 않고, 특이한 소설도 아니다.
오히려 소설로써는 실패작이 아닐까...싶기도 하지만,
한바탕 사색의 시간을 가진 것같은 느낌이 든 달까, 아니면 모리 히로시와 대화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달까.
어딘지 묘한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