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아홉, 그가 나를 떠났다 - 2005 페미나상 상 수상작
레지스 조프레 지음, 백선희 옮김 / 푸른숲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제목이나, 책 표지가 주는 이미지로만 이야기를 유추해보자면,
스물 아홉살에 남자에게 버림받은 여자가 "나도 너따위 필요없어!"라고 외치며,
자기직업을 사랑하는 직업 여성으로써의 새로운 삶을 살게되며, 거기엔 꼭 연하남 하나정도는 등장해야하는
노처녀를 위한 요즘 드라마의 트랜드를 따른 이야기처럼 느껴진다만,
막상 이 책은 그런 상상과는 많이 다르다.
흡사 아멜리 노통의 소설을 떠올릴수 밖에 없이 숨가쁘게 서로를 헐뜯고 비난하는
기이하고 냉소적이기 이를데 없는 소설이 바로 이 소설.
 
스물아홉살의 지젤에게 어느날 남자친구 다미앙의 아버지가 찾아온다.
수도꼭지를 갈아주려고 찾아와서는 이것저것 잔소리를 늘어놓더니만,
이 아버지 하는 말씀이, 갑자기 다미앙이 헤어지고 싶다고 전해달라고 해달란다.
자다 말고 깨어나 정신이 없는 지젤에게 다미앙은 더이상 너를 사랑하지 않고,
이제 결혼을 해야할 그에게는 너보다 더 어린 여자- 스물 서넛 정도 먹은 아가씨가 필요하며,
그녀를 위해 한바탕 충고를 멋대로 늘어놓더니만, 집에서 다미앙 물건을 다 가져가야겠다고 하지 않나,
그것도 모잘라 좀 도와달라고 하지 않나, 급기야는 너랑 자고 싶다는 얘기를 꺼내지 않나.
상식 이하의 아버지보다 더 열받는 남자 다미앙.
매사에 무감각하며 이별 통보조차 아버지에게 맡겨버리는 비겁하고 파렴치한 다미앙.
그에 한술 더떠, 가뜩이나 충격받아 술로 하루하루를 보내는 지젤에게 전화해서
다미앙과 헤어져야할 이유는 친절히도 설명해주시는 수다스럽고 잔인한 다미앙의 어머니까지.
 
사랑이란 공해이며, 피를 빨다가 문득 우리의 몸이 역겨워진 피곤한 모기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도발적인 이 소설에는 어느 것 하나 제대로된 인간들이 나오지 않는다.
그들은 하나같이 비겁하며, 남 탓하기 좋아하고, 수다스럽지만, 정작 서로 대화는 거의 하지 않는다.
기껏해야 한쪽이 일방적으로 퍼부어버리는 충고 아닌 충고만 있을 뿐.
소설의 이야기는 아주 간단해서, 스물 아홉살의 지젤을 비겁한 다미앙이 떠나는 것 뿐이지만,
그 안에 내재된 가족 갈등과 불신, 인간에 대한 애증이 이 소설의 주된 이야기가 되겠다.
그래서 이야기의 굴곡이 너무 없고, 수다스럽게 자기 입장만 떠드는 사람들 때문에
전체적으로 다소 지루하고 평이하며 엇비슷한 비유가 연속적으로 소설 내내 등장해
작가의 의도된 문장인지, 아니면 작가가 그 단어에 애착을 가지고 있는지 의아해지기도 한다.
(이를테면, 소설 내내 정액에 관한 비유를 하는 점- 이해도 납득도 되지 않는 비유들은
꼭 마치 작가가 그 단어를 쓰기 위해서 문장을 써내려간 것처럼 짜맞춰진 느낌이 든다.)
 
2년 전까지만 해도 아멜리 노통의 소설을 꽤 재밌게 봤었는데,
아마 지금 아멜리 노통의 소설을 읽는다 해도 이와 똑같은 기분이 들었으리라.
죽도록 싸우고 남을 헐뜯지 못해 안달인 사람들의 수다를 듣기에는
내가 이미 조용함이나 무언에서 오는 메시지를 더 즐기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너무 시끄러워서 사람 피곤하게 만든다.
그 안에는 자기 변호로 얼룩진 비겁한 변명이 있을 뿐이다.
너무 소심하고 나약해서 남을 비난하지 않고는 자신감을 느끼지 못하는 자들을 위한 뒤틀린 변명들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