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대위에는 앙상하게 가지를 내리고 있는 나무 한그루가 전부인 연극이 있다.
나오는 등장인물 또한 5명을 넘지 않는 비교적 적은 인원의 극중인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연극이 있다. 모호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지구상 수많은 사람들은 조금씩 불꽃이 일어나는 석탄불마냥 점점히 그 열기를 더해가고 있고, 지금은 지구상 어딘가에서 어느나라 언어로 공연이 되고 있는 연극이 있다.

원작을 접하면서 적잖게 당황하게 되었다. 무식한 나의 짧은 지식의 한계라서 그런지 난 지금까지 원작 소설이 있으며, 이를 토대로 연극이 만들어 졌다는 진실을 철썩같이 믿고 있었지만, 책을 본 순간 여지없이 진실은 와르르 무너져 버렸다. 책 자체가 소설이 아닌 시나리오 였다는 사실...처음부터 연극을 위해 만들어진 책이라는 사실에 소심하게 약간 붉게 물든 얼굴로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마주하게 되었다.

결과는 참담..그 자체 였으나, 책 뒤에 나와 있는 나름대로 전문가의 분석을 보고 나서 이 연극과 원작이 `부조리극' 이라는 사실을 알고는 조금은 위로를 받았다는 자체적인 평가를 내려버리고 말았다.

고도를 기다리며는 제목에서 처럼 두 주인공인 블라드미르와 에스트라공이라는 인물이 고도라는 사람을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앙상한 나뭇가지가 듬성듬성한 나무 한그루만 있는 장소에서 기다리는 이야기이다. 왜 기다리는지도 얼마나 기다리는지도 언급없이 하염없이 기다리고 또 기다리는 내용이 전개되어 간다.

인물

주역 이외에 나오는 인물 역시 세명 뿐... 그 을씨년스러운 고도와의 만남의 장소를 지나가는 목줄이 묶인 럭키와 그의 목줄을 잡고 있는 포조....그리고 거짓인진 진실인지 고도라는 인물의 유일한 존재 를 알려주는 소년뿐이며, 각자 인물들은 하나하나 독특한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블라디미르의 경우는 나약한 존재임에는 분명하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소신을 시종일관 보여주고 있으며, 그와 비견되는 에스트라공의 경우 축이 없는 모습을 보이면서 거친 바람에 팽개쳐친 연처럼 위태위태한 자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주변 등장인물들 중 가장 나태하고 불쌍한 모습을 보이는 목줄에 묶인 노예같은 럭키의 경우 현실순응적인 자폐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목줄의 끝을 잡고 있는 포조의 경우 권력과 부를 가졌으나 그것뿐인 속빈 강정의 모양으로 나타내어지고 있다. 그리고 고도의 존재를 알려주는 소년의 경우 거짓말 양치기소년의 모습과 내일..이라는 단어를 가지고 희망을 조금씩 품게 해주는 이중적인 상태를 보여준다.

총2막으로 구성된 이 이야기는 마치 옛날에 봤던 `사랑의 블랙홀' 의 비슷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단 영화에서는 주인공이 매일매일 마주치는 똑같은 일상이지만 이 책의 주인공들은 단 이틀동안 똑같은 인물을 만나면서 그들의 행동은 첫날의 가식을 둘째날 무너트려 버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고도(Godot)

고백하건데 `고도를 기다리며' 라는 이 연극을 처음 알게 되었을 때는 한문으로 고도(高度)인 줄 알았었다. 나중에 되어서야 이것이 사람의 이름이라는 것을 알았으며, 사람의 이름임에도 불구하고 연극이나 책에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그 이후에나 알게 되었다.

책에서 블라드미르와 에스트라공이 기다리는 고도라는 인물은 절대자 혹은 구세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고도가 이 두사람에게 무엇을 해줄지, 어떤 이익을 가져다 줄지에 대해서는 언급 자체가 전무하지만, 이 주인공 두사람이 애타게 찾으면서 기다리는 모습을 보면 그들에게 무언가 커다란 것을 주어줄 수 있다고 유추가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작가가 이것을 집필한 시기 자체가 2차세계대전 전후의 상황이라는 것을 감안하건데,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인간성의 회복, 물질적, 정신적인 복구를 추구하는 절대적인 힘을 가진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잡초(Weeds, 1987)



닉 놀테라는 배우가 주연을 맡았던 이 영화에서 `고도를 기다리며' 는 영화 전체의 줄거리를 떠받드는 위치를 가지고 있다. 종신형 선고를 받은 죄수가 저주받은 삶을 괴로워하며 계속되는 자살시도 끝에 이 연극을 보고 개심을 하면서 연극 극작가 겸 배우로써 `잡초'라는 연극을 만들면서 또다른 인생을 산다는 내용이였었다. 오래된 영화면서 많이 알려지지 않은 영화임에도 기억을 하는 이유는 영화 속 주인공처럼 이영화를 통해 불현듯 봐버린 `고도를 기다리며'의 연극 때문이 아닐까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08-22 2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읽지도 읽을 생각도 못하는 책을 읽으셨군요..^^
저도 그 고도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어요..ㅎㅎ

stella.K 2006-08-22 2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극을 본적이 있죠. 임영웅이던가? 연출가가...그 사람은 이 작품을 전문으로 연출 한다지요 아마. 좀 어렵긴 했지만 나름대로 재밌게 본 연극이었어요. 부조리 극도 보면 보겠더라구요.^^

마노아 2006-08-22 2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버스정류장 보고서 비슷한 감정을 느꼈어요. 어려워요ㅡ.ㅡ;;;;

기인 2006-08-23 0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고도를 기다리며' 연극은 정말 꽤 괜찮았던 듯 ^^; 사랑의 블랙홀은 정말 명작이죠? :)

Mephistopheles 2006-08-23 0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야님 // 전 이 책의 등장인물들..특히 말한마디 안하다가 두페이지 가량의 대사를 쏟아내는 럭키의 대사는 뭔 내용인지 감이 잡히지도 않더라구요...
스텔라님 // 좀...어렵습니까...? 아 전 책보면서 머리에 쥐가 나던걸요..^^
마노아님 // 버스정류장이라면 국산영화 말씀하시는 건가요..?? 암튼 만만한 책이 아니였습니다.
기인님 // 그럼요...저 사랑의 블랙홀은 정말 재미있는 코미디 물이였어요..^^

urblue 2006-08-23 14: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 '고도'라고 생각했죠. 글구 책 산 지 백년은 됐는데 아직 얌전히 모셔놓고만 있습니다.

Mephistopheles 2006-08-23 15: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기분이 좋아집니다..저같은 분들을 발견(?) 해서요..^^
그나저나 블루님..죄송하지만 연세가......???

2006-08-23 16: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Mephistopheles 2006-08-23 16: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분 // 이런 식으로 뒷통수를 치시다니....ㅋㅋㅋ 전적으로 님의 자작극이라고 생각할렵니다...^^ 그리고 그분들하고 전 비교대상이 아니어요 그분들은 저기 저
피라미드 정점에 있는 사람들이라니까요...^^

2006-08-23 16: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노아 2006-08-23 1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책이에요. 머리 아프더라구요..;;;

Mephistopheles 2006-08-23 1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분 // 님도 좋은 하루 되십시요~~~~
마노아님 // 민음사 책이였군요...^^ 무식하게 저는 영화 버스 정류장 생각했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