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중그네 ㅣ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1+1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이기에 후다닥 구입해 버린 이 소문무성한 공중그네+인 더 풀은 무협지를
읽는 듯한 속도로 후다다닥 읽어내려 가버렸다. 낄낄 거리면서 웃고 떠드는 사이 아쉽게도 책은 마지막
번역자의 후기에 머물러 있었고. 결국 다 읽고 나서 내가 대체 뭔 소설을 읽은 거지.? 하는 약간의 공허감을
맛보기까지 했다.
두권의 책의 중심인물은 이라부라는 정신과 의사와 그의 육감적인 간호사 마유미의 주변을 어슬렁(?)
거리는 표면적으로는 별탈 없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듯한 인물들이 진을 치면서 벌어지는 좌충우돌 코미디
한판같은 술렁술렁 넘어가는 이야기 책이다. 만화의 등장인물과 별반 차이없는 외양을 가지고 있는 이 주인공의사는 실패를 모르는 퍼팩트 정신과 의사이긴 하지만 치료과정은 과격하기 그지 없다.
병의 원인을 없애기 위해 그 원인제공요소에 정면으로 부딪치기를 환자에게 강요 아닌 강요를 하질 않나....
그걸로 끝을 내지 않고 그 최악의 상황을 지근거리에서 지켜보면서 변태와 같은 야릇한 자기만족을 느끼질
않나.... 자질이 의심스러운 간호사는 무지막자하게 살가죽에 쑤셔박는 주사바늘을 무기 삼아 자신의
육감적인 육체의 한귀퉁이를 환자들에게 흘깃 흘깃 보이질 않나....
그런데 이상야릇하게도 이런 최악의 진료를 경험한 환자들은 하나같이 파블로의 개 마냥 머리속에 종이
울리면 약속이나 한것처럼 이라부의 앞에 앉아 푸념을 하고 상담을 받고 있지를 않나....
병원. 의사. 간호사. 진찰...이러한 일련의 보편적인 이미지를 두권의 책을 읽는 동안 즐겁게 깨버리기에는
충분했으며, 정신과라는 곳이 이런 방식으로 치료를 하진 않을까 라는...말도 안되는 의구심을 가지게도
돼버렸다.
하지만, 뭐든지 지나치면 문제라는 정의가 있듯이, 이 책 역시 짤막 짤막하게 끊어버리는 듯한 단편과
단편사이 책을 읽는다는 기분보다는 왠지 모를 드라마 대본을 보는 듯한 느낌만큼은 부인할 수 없는
책이라고 보고 싶다.
그가 정신과 의사이기 망정이지.... 만약에 외과나 내과 안과 치과 같은 진료과목이었으면 어떠했을까..
외과 : 일단 배를 열고 보자고....!! 응...
(배를 가르는 메스를 보면서 그는 묘한 흥분감에 콧김을 내뿜었다.)
내과 : 머리 한쪽을 열고 뇌를 봐야겠어...!! 응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묶어 놓고 전기톱으로 두개골을 절개하는 그는 묘한 흥분감에
눈알이 시뻘게 졌다.)
안과: 나의 진료는 일단 두눈을 뽑아 놓고 시작한다고...흐흐
(환자를 향해 다가오는 그의 손에는 어느새 커다란 집게가 들려 있었다)
치과 : 일단 뽑고 보자고 응..!!
(치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마취도 없이 생니를 뽑아 제끼는 그의 입술은 흥분감으로 부들부들 떨려왔다.)
아 정말 그가...정신과 의사라는 사실이 새삼 다행스럽다.. 안그랬으면 이책은 즐겁기는 커녕 피가 튀고
살이 튀는 하드고어, 스플래터 호러 소설이였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