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기간 한 통신사만을 사용한 A씨는 핸드폰의 노후로 인한 핸드폰 교환을 위해 견적을 알아보고 있다. 이런 쪽에 문외한 이기에 얼리어덥터 기질이 다분한 직장동료 B에게 문의 하게 되었다. 역시나 이런 쪽에 빠삭한 B는 A를 위해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가 A에게 처음으로 던진 말은..
'뭐 하러 한 통신사 계속 써 갈아 타 그게 남는 장사야'
요즘 통신사의 영업행위를 보면 B의 말이 결코 틀린 말이 아니다. A처럼 핸드폰의 노후나 분실로 인해 교체를 하고 싶은 고객이 발생하면 같은 통신사 고객은 핸드폰 가격 거의 그대로 지불을 해야 하는 반면 다른 통신사 신나게 쓰다 통신사 갈아타는 고객에겐 1원을 받고 핸드폰을 판매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물론 갈아타는 고객은 의무약정 2년이라는 보이지 않는 사슬에 묶이게 되고 가입비 등등의 명복으로 초기 투자비용이 어느 정도 소요된다. 하지만 한 통신사를 계속 고집하는 A같은 사람이 핸드폰을 교체하며 드는 비용에 비하면 새 발의 피에 불과하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지 궁금하기에 내가 이용하는 통신사에 문의를 해보면 수화기 너머 예쁜 목소리의 그 언니는 죄송합니다. 고객님 저희 통신사의 내부 방침입니다. 란 말만 앵무새처럼 떠들어준다. 궁금한 건 못 참는 성격에 이리저리 한번 파헤쳐 보는 척이라도 해보았더니만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자사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고객이 한 달 통신비용으로만 5만 원 이상 나오는 고객만이 그들에게 속칭 '돈'이 되는 고객이라고 한다. 하지만 핸드폰 써 본 사람을 알겠지만 영업이 아닌 이상 유난히 핸드폰으로 수다를 즐기지 않는 이상 5만 원 이상 쓰기는 힘들다. 더군다나 경제도 어려운 시점에 가급적 통신비를 줄이는 요즘 시점에선 더더욱 저 5만원이라는 순수 통신비를 넘긴다는 건 쉽지않는 일이다. 그런 관계로 고액의 사용료를 내지 않는 고객의 경우 돈이 안 된다는 소리가 성립된다. 그에 반면 다른 통신사를 통해 갈아타고 오는 고객은 초기 가입비며 이런 저런 강제약정으로 오히려 돈이 되는 고객이 된다는 것.......
하긴 기업이란 이윤을 추구를 제 1 목적으로 만들어진 집단이니까 저렇게 팔이 완벽하게 밖으로 굽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나 보다. 알라딘 역시 별반 다를 바 없어 보이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