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볍게.
월요일 사무실에서 가장 가까운 극장에서 놈놈놈을 보고야 말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영화를 보기 위해 투자(?)했던 돈이 아깝진 않았다.
(천원 할인된 극장비+샌드위치+망고쥬스+팝콘)
비주얼 좋고, 음악 굉장히(!) 좋고, 배우들의 연기 또한 나무랄 곳 없다.
3명의 놈이 가지고 있는 간판적인 성격을 무난히 소화해내는 느낌이다.
그만큼 배우의 캐스팅이 좋았다는 것.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은 결국 영화를 다 보고 나니
멋지게 가오 잡는 놈,
뒤끝 징하게 있는 일류병 걸린 미친 놈,
왕년에 꽤나 잘 나갔던 놈이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조금 무겁게.
여기저기 쏟아져 나오는 비판의 목소리는 "스토리" 다시 말해 서사의 결핍이
지적되고 있는 상황. 인정할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김지운 감독의 전작들을
챙겨 봤다면 조금은 난감한 상황에 봉착할 수도 있겠다. 이 영화..감독이 김지운
맞아.?? 란 갸웃거림이 들을 정도로 그의 전작들에 비해 서사의 비중은 좀 지나칠
정도로 많이 결핍되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늘어지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연걸로 대표되는 홍콩무협영화의 황금기때 종종 목격되던 갑작스런 스토리 점핑 같은
느낌이 적어도 한군데 정도에서 감지되었을 정도.
사운드도 대단하고 특히 촬영에서도 "이걸 어떻게 찍었을까?"란 감탄사가
나올 정도로 멋진 장면들이 많은 영화다 보니 스토리의 결핍은 더더욱 아쉽게 다가온다.
아마도 혹시나 어쩌면... 감독 재편집판 같은 것이 나오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그냥저냥 개인 생각.
영화를 보며 느꼈던 개인적인 생각을 주절거려보면
주인공 3명은 나라를 잃어버리고 조국을 등진 사람들이라는 것을 쉽게 넘겨선
아니 될 듯싶기도 하다. 그 결과로 현상금 사냥꾼 박도원(정우성)은 독립군의
의뢰에 마음이 아닌 돈의 액수로 움직이며 제정신이 아닌 듯 한 박창이(이병헌) 또한 만주
최고의 마적에 이상하리만큼의 집착을 보이며, 닳고 닳은 잡초 같은 윤태구(송강호)역시
박도원과의 대화에서 체념과 한탄의 모습을 보여준다.
만주들판을 말 달리며 날고 기는 그들이지만, 어차피 초대받지 못하고 환영받지
못하는 이방인에 불과할 뿐. 그래서 그런지 막판 대추격전 속 박도원의 멋진 액션씬도
통쾌라는 개념보단 약간은 우수가 묻어나는 느낌이다.
결과는.
스토리 확실하고 꽉 짜 맞혀진 태옆시계같은 영화를 지향한다면 이 영화를 선택하지 않으면
되고 액션성과 함께 정우성을 옵빠!라고 부르고 싶다면 봐도 돈 안 아까운 영화임에 틀림
없어 보인다. 양날의 칼날이 있는 영화는 분명하고 선택하는 건 관객의 몫.
그렇다고
나와 생각이 다르다고 다짜고짜 반대의견에 기를 쓰고 반박할 필요성은 있을까 싶다.
영화는 영화일 뿐이잖은가. 감상이 똑같음을 강조하고 고집한다면 그건 더 이상 영화가
아닌 대국민 홍보영상물일 뿐이다.
책도 당근말밥 마찬가지겠다.
뱀꼬리 : 영화 보는 내내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황야의 무법자가 징하게 생각났다.

석양의 건맨 2 - 석양의 무법자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1966)
마지막 삼각대결장면은 완벽한 오마쥬겠지..
이건 뽀나스 영상....암튼 기가막히게 매치가 된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