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61002

 

≪틀리지 않는 법≫ - 수학적 사고의 힘

 

질문 1 ; 어떤 남자가 성범죄자가 아닐 때, 어느 여성이 그를 성범죄자로 여길 확률은 얼마일까?

질문 2 ; 어느 여성이 한 남자를 성범죄자로 여길 때, 그가 성범죄자가 아닐 확률은 얼마인가?

 

≪틀리지 않는 법≫의 첫 번째 독후감에서 페미니즘의 통계적 오류를 언급한 바 있다.

 

* 독서기록 160926 틀리지 않는 법

http://blog.aladin.co.kr/maripkahn/8790474

 

F페미니스트라면, 위 질문의 차이를 즉각적으로 이해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이해할 것이다). 나는 모른다고 생각하기보다 (의중유보를 통해) 왜곡한다고 생각한다.

 

f페미니스트라면 모든 페미니스트가 위의 통계적 의미를 이해했다고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 라고 말한다면 여성에 대한 편견일 수 있으므로, 여성이나 남성이, 각각의 성별에서 ≪논어≫를 읽을 확률보다 위 문장의 차이를 이해할 확률이 낮다고 생각한다.

 

p227 질문 1: 어떤 사람이 테러리스트가 아닐 때, 그가 페이스북 위험자 명단에 오를 확률은 얼마인가?

질문 2: 어떤 사람이 페이스북 명단에 올랐을 때, 그가 테러리스트가 아닐 확률은 얼마일까?

두 질문을 구별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답이 서로 다른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답은 정말 다르다.

 

현학적으로 설명을 보태면, sensitivity & specificity와 positive & negative predictive value는 다른 개념이다.

 

가끔 진료 후 의사가 무슨 말을 했는지 잘 몰라, 또는 의사가 말을 바꿨다고 하소연하는 것 중의 흔한 것이 위 내용의 혼동이다.

 

p266 <그것은 명백합니다> ... 종종 이런 말로 끼어드는 사람이 있다. 그것은 전혀 명백하지 않다. ; 내게는 당연하지 않는 것들이 남들보다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