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61001

 

≪시바 아저씨≫ 서평 별점 ; ★★★ 구매

 

‘시바’ ; 일본 고유의 견종인 '시바 개'를 뜻하는 것.

 

어느 날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아우라가 넘치는 ‘개늑시’라는 단어를 봤다. 아마 이 아우라는 ‘늑’이라는 글자에서 나왔을 것이다. 찾아보니 드라마 제목인데, ‘개와 늑대의 시간’ (2007, MBC)의 줄임말이다. 풀어놓고 봐도 여전히 멋있는 말이다.

 

《개와 늑대의 시간》의 의미는 '해 질 녘 모든 사물이 붉게 물들고, 저 언덕 너머로 다가오는 실루엣이 내가 기르던 개인지, 나를 해치러 오는 늑대인지 분간할 수 없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프랑스 말 ‘heure entre chien et loup 개와 늑대의 시간’에서 따온 것인데 개와 늑대를 구분할 수 없는, 낮도 밤도 아닌 애매모호한 시간의 경계, 날이 어둑어둑해지면서 사물의 윤곽이 희미해지는 시간을 가리키는 말로 황혼을 뜻한다. (위키백과)

 

“해질녘, 모든 사물이 붉게 물들고, 저 언덕 너머로 다가오는 실루엣이 내가 기르던 개인지, 나를 해치러 오는 늑대인지 분간할 수 없는 시간. 이때는 선과 악도 모두 붉을 뿐이다.” (개와 늑대의 시간, 이준기)

 

이 책의 근간은 ‘아버지’의 애환, ‘남성’의 애환이라고 할 수 있으나, 아버지, 남성만 애환이 있나, 어머니의 애환, 여성의 애환, 수험생의 애환 등. 이 세상을 사는 수많은 사람들은 각자의 애환을 가지고 산다.

 

나는 오히려 누구의 애환보다 사람과 개를 오가는 변화가 흥미롭다. 그리고 얼마 전 읽었던 ≪악어 프로젝트≫를 떠올리는데, ≪악어 프로젝트≫에서 일반화되는 남성은 사람일까, 악어일까, 늑대일까. 이와 같은 상황이 설득적인 이유는 관찰자와 객체의 상호 관계에서 그 본질이 결정되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말하면 슈뢰딩거의 고양이 Schrödingers Katze와 같다는 것이다. 이 현상은 거시세계와 미시세계의 경계로 설명한다. ‘개와 악어의 시대’를 살고 있는 남성들에게 이 패러독스를 설명할 방법은 무엇일까? (시간이 아니고 시대인 이유는 꽤 오랜 시간 지속될 것 같기 때문이다.)

 

* 이 책이 집에 도착하니, 아이가 묻는다.

“만화책이냐?”

“응”

“내 책이야?”

“아니. 아빠 책인데.”

“내가 먼저 읽으면 안 돼?”

“네가 먼저 읽어 봐.”

 

궁금증 1] 이 책을 읽은 딸아이의 감상이 궁금하다.

궁금증 2] ‘메갈리안’ 회원 그리고 메갈리안을 지지하는 분들의 아버지와의 관계가 궁금하다.

 

* 버려진 카세트 라디오

http://blog.aladin.co.kr/maripkahn/1938430

 

* 밑줄 긋기

p30 ~32 아빠는 왼쪽에서 두 번째 포니테일이 괜찮은데. 사이토 유키 젊을 때 같아서 좋구나~./아빠/기분 나빠. 뭐라는 거야, 이 송충이 아저씨가./아저씨는 실수라도 젊은 아가씨를 가리켜 ‘귀엽다’고 해선 안 됩니다./아빠 그런데, 아이나 부탁이 있어여/으엑?! 뭐야, 그 반짝이는 미소는?! 방금전까지 송충이 취급하더니~?!/뭔데? 불길한 예감이 든다 .../스마트 폰 사주세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6-10-01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쓰레기통에 버려지지 말아야지.

`시바`와 어느 분 독후감에 등장하는 `개저씨` ; 시바 개저씨 ... 라임의 아우라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