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60914

 

≪과학한다, 고로 철학한다≫

-나의 기준은 무엇인가

 

p133 환경 자체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 환경 자체도 변한다.

 

현재를 기준으로 하면 변한다. 그러나 빅뱅 big bang부터 빅크런치 big crunch까지 다중우주를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미래를 포함하여) 시공간을 가정하면 (holistic) 환경은 고정되지 않을까?

 

하워드 진은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달리는 기차 위에서 가만히 있는 것이 지구의 자전과 공전, 은하의 회전으로 고려할 때 중립일 수 도 있다. (또는 기차의 방향과는 반대인 뒤(, 진보적으)로 달린다는 것의 의미가 희박하여 별 의미가 없을 수도있다.)

 

p350 과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것은 과학이 혼자서 답변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 서구에서 근대 혹은 모던(modern) 시대라고 하면 18세기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이성중심주의 시대를 일컫는다. ... 모더니즘은 혁신이었으나 역설적으로 보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 개성 ·자율성 ·다양성 ·대중성을 중시한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이념을 거부했기에 탈이념이라는 이 시대 정치이론을 낳는다. [네이버 두산 백과]

 

내가 아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구분의 하나는 메타분석에 대한 초월적(? 우월적) 의미를 두느냐 마느냐는 것이다.

 

나는 미래의 불확정된 것( 그리고 사건의 지평선에 이르는 측정 불가능한 공간)을 가치관에 포함시켰다는 비판을 받겠지만, 이것이 내게 최선이다.

 

이러한 약점 때문에 행동의 결정의 가치판단은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현재로서 불확실하며) 사후 事後적으로 결론에 이른다. 그러나 (개인의 경험을 넘을 객관적 지표는 없지만, 나름) 효용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