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映畵鑑賞 150702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Mad Max: Fury Road> 두 번째 이야기

 

이 영화에서 눈에 띠는 것은 자동차다. 마치 자동차의 모습이 연기력이나 영상미를 담당하는 것 같다. 두 번째 눈에 띠는 것은 기타리스트다.

 

* ‘여전히라는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억압

http://blog.aladin.co.kr/bluefox/7613538에서 발췌 ;

자신의 공격성을 페미니즘으로 풀어내는여성과 내가 대입한 자신의 공격성을 정의로 풀어내는남성은 어떤가. 남녀를 막론하고 페미니즘을 빌려 피해의식을 과대포장하거나 정의를 내세워 명성을 취하려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파란여우 님의 위 글을 내 글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인지 아닌지 모르겠으나, 마음에 가책을 받는다. (그리고 이런 글을 남겨 주신 파란여우 님께 감사한다.)

 

<매드맥스> 이 영화는 여성주의를 해석할 여지가 전혀 없다. - 이 말은 틀린 말이다. 즉 이 여성주의로 해석할 부분이 있다. 그러나 이 영화가 여성주의를 나타내는 영화인가라는 물음에 나는 아니요로 답한다. 대부분이 남성주의 가치관에서 진행된 영화에서 정조대를 끊는 한 장면을 가지고 여성주의 영화로 논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모세와 같은 캐릭터 퓨리오사와 (노골적인 샷은 없지만, 그럼에도 추노의 이다해를 떠올리게 하는) 여전히 여성의 몸매를 보여주는 이 영화에서 여성주의라니... 여성이 주인공 female lead이라서 여성주의영화라면 여성 대통령을 배출한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보다 여성주의가 구현된 나라이다. 여성 액션을 이야기하자면 양쯔충 楊紫瓊<예스 마담 皇家戰士: Royal Warriors>이 더 여성주의적이다. 개인적으로 마립간적 여성주의가 돋보이는 장면은 임신한 여성이 차문에 매달려 퓨리오사를 보호하는 장면이다. 이 영화에 적지 않은 분량에 등장하는 눅스는 (미국의) 보수주의, 남성주의의 전형을 보여준다.

 

<페미니즘의 도전> p11 여성주의는 양성 평등에 관한 주장이 아니라

 

* 나는 왜 양성평등을 지향하는가?

 

남성과 여성의 생각(인지 방식 사고방식)의 차이는 1차적으로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성별에 분화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겠지만, 이 분화는 남녀의 사회적 역할의 분화로 확장되면서 적응한다. 남자는 집밖에서 사냥을 통해 분석적, 즉각적 사고를 하고, 여자는 집안에서, 집근처에서 채집과 살림의 역할을 맡으면서 종합적 사고를 한다.

(나머지 http://www.seehint.com/r.asp?no=11367)

 

이와 같은 성향은 <도덕의 정치>의 아버지 원리와 어머니 원리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 낙태와 사형 http://blog.aladin.co.kr/maripkahn/790073

 

내가 딸의 행복을 기대하면서 딸이 살기 좋은 곳은 남성 우월의 남녀불평등 사회일까, 아니면 양성 평등의 사회일까? 당연히 양성 평등의 사회를 선택할 것이다. 만약에 아들이라면, 아들의 이기적 행복을 기대한다면? 나는 역시 양성 평등의 사회를 고를 것이다. 그 이유는 양성의 평등의 사회가 안정적이고, 안정적이라는 말은 어느 정도 부유하기도 하고, 신뢰와 배려라는 사회적 자산이 축적된 사회다. 양성 평등은 안정된 사회의 결과다.

 

그러면 양성 평등이 안정된 사회의 원인으로 작용할까? 조건에 따라 그렇다. 여성의 사고, 어머니의 원리는 중장기 中長期 계획 활동이 가능하다. 이런 중장기적 활동은 단기적 효용성을 보이는 남성의 사고, 아버지의 원리보다 더 좋은 결과를 보인다.

 

* 여성 21세기 http://blog.aladin.co.kr/maripkahn/790851

 

그러나 이 어머니 원리는 원인적으로 작동하려면 활동이 마무리될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런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 (예를 들어 전쟁과 같은) 사회적 환경이라면 진화적 압력에 의해 아버지 원리가 작동하게 된다. (내 이론에 따르면 1994년 한국 사회보다 2015년 한국 사회는 남녀불평등이 심화되었을 것이다. 20년간의 페미니스트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 1994년은 우리나라 지니계수가 가장 낮았던 해.)

 

영화 이야기로 다시 돌아가 보자. 전쟁과 같은 상황인 영화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의 배경은 아버지 원리가 작동하는 배경이다. 줄거리 자체가 아버지 원리를 이야기할 수 없는 구조다. 반복해서 이야기하지만, 양성 평등의 주제는 일반 철학, 윤리 도덕의 주제의 사상寫象이다.

 

* 마지막으로 모든 사람이 안정적이고 행복하고 부유한 사회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 누구는 안정적 사회에서 능력을 발휘하고 누구는 위기적 사회에서 능력을 발휘한다. 사람은 상대적 평가에 민감하다. 위기 상황을 선호하는 사람이 권력을 쥐면, 위기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히틀러 같은 사람이 예이다. 전쟁을 일으키는 정도가 아니라고 위기 상황을 통해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