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50226

 

<남명 조식 칼을 찬 유학자>

- 노장老莊사상

 

남명도 나도 플라톤-노자주의자라고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플라톤주의자의 가장 큰 약점은 이데아-도를 당장 손에 쥘 수 없다는 것이다. 그 다음 차선책이 멀리 보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무오류에서 최소의 오류를 선택하게 된다. 약간의 디오게네스-양주주의를 가미한다. 다른 선택도 있다. 현실과 타협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장자주의를 가미하는 것이다. 근본주의자들은 후자의 선택을 변절로 부른다. (아마도 전자를 드문 변절로 부르겠지.)

 

p28 <부귀와 재리에 대한 멸시>는 그 자체로 드문 미덕이다. ... 이런 태도는 자연히 <오만>과 <방탄>으로 이어지기 쉽다.

p28 아마도 그의 오세傲世는 세상의 공명을 뜬구름처럼 여기는 노장에 이끌리게 했을 것이고, 그의 유협遊俠은 전쟁의 기술과 권력의 생리를 피력하고 있는 한비류에 이끌리게 했을 것이다.

p31 본지풍광本地風光

p32 겸선천하兼善天下와 독선기신獨善其身, 이 둘의 통합적 지향

p114 남명의 학문은 결코 기존의 사상을 얌전하게 따르고 묵종하는 학문이 아니었다./조선조의 유자들은 그들 양명학자로 혹은 노장류 老莊類의 인물로 혹은 불교를 존숭한 인물로 이해한다.

p278 청향당은 대나무, 소나무, 매화, 연꽃 등이 있고 이원은 그곳에서 경전을 벗삼아 거문고 연주하며 살았다.

 

- 우리 모두는 이중주의자다

 

p56 1) 기술 art로서의 지식/p57 작은 공부 小學가 학문의 알파요 오메가

p60 경전은 다만 도구일 뿐/p62 궁극은 경전經傳 너머에 있다

 

p71 제자 하나가 마음, 본성, 감정, 능력 등의 구분에 대해 물었을 때 육상산은 그를 호되게 나무랐다. 그는 중요한 것은 그 따위 분석이 아니라 근본 배양, 즉 배움의 원천과 근본에 대한 자각이고, 그것을 실현하려는 의지라고 가르쳤다. ; 이 말이 사실이라면 왜 동양은 (문명적으로) 서양에게 뒤졌을까? 문화적으로 뒤지지 않았다고 위안하면 그만인가?

 

p75 남명의 방식이 주자학보다는 상산과 양명 계통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남명의 저술을 통독하고서 짐작컨대 그는 주자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

p107 주지하는 것처럼 기독교에서는 인간이 완전히 자기를 버릴 때 신의 본질과 마주하게 된다고 말한다.

p120 慾望 ; 이천伊川은 이것은 육신을 가진 인간의 존재의 한계로 보고 있다.

 

나는 세상이 플라톤-노자주의, 아리스토텔레스-장자주의, 디오게네스-양주주의가 통합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통합을 꿈꾸는 자체가 플라톤-노자주의자다. 추정하건대, 통합되지 않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