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映畵短評 141125

 

<Her> 평점 ; ★★★

 

<막달라 마리아 복음서> 뒷부분을 읽으면서 지루함을 느꼈다. 오랫동안 고민을 했었지만, 그 답을 찾기를 포기한 주제다. 바로 ‘정신 작용의 층위가 본질적으로 존재하는가’이다. 층위가 있다면 몇 단계, 또는 몇 개로 이뤄졌는가? 육신에 비교해서 정신mind가 존재한다고 나는 직관에 의해 인지한다. 이 정신은 동전의 앞뒷면처럼 이성과 감정이 존재한다. 의지는 정신작용의 이성과 감정을 떠난 새로운 단자monad, 모듈인지module인지 모르겠다. 마녀고양이 님과 대화에서 잠깐 내 의견을 표명했지만, 나는 영 spirit이, 지정의知情意의 정신과 별개인지 모르겠고, 잠정적으로는 동일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

 

더 나아가 혼백 soul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잘 모르고 판단이 잘 안 설 때는 default를 사용한다. 내가 사용하는 default는 기독교 교리인데, 기독교 교리에서조차 정신의 이분二分설과 삼분三分설 중 어느 하나가 정설로 되어 있지 않다. 정精, 신神, 혼魂, 령靈, 백魄 등의 단어가 mind, spirit, soul과 이렇게 저렇게 짝지어 사용된다. (Heart는 감정-心情에 합당한 것 같다.)

 

내가 생각하기에 정확한 층위를 보여주는 것은 유리수와 무리수다. 유리수의 가감승제加減乘除 연산을 통해 무리수는 추론되지 않는다. 거급제곱을 통해서 비로서 무리수를 추론할 수 있다. 유리수가 정신이고, 영-혼-백이 무리수라면 정신에서 영-혼-백은 진화(가감승제 연산)에 의해 창발되지 않는다.

 

내 의견은 ; 영화 <Her>에서의 상황처럼 사람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랑할 수 있는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격적으로 다뤄야 할지는 소프트웨어를 mind에 비교할 때 spirit이나 soul을 가질 수 있느냐로 판단할 수 있다. 감정 heart가 아니다. (육체 body는 hardware다.) 만약 사람의 영-혼-백이 진화(거듭제곱이 가감승제와 같은 차원이라면)에 의해 창발되었다면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사람과 동등하게 취급할 만큼 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에게 정신과 별도로 영-혼-백이라고 지칭할 만한 것이 없을 수도 있다. 감정은 충분히 소프트웨어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본다. 정말 그렇다면 어느 때부터 태아를 인격체로 보느냐와 같은 논란이 존재한다. 육체적 관계는 중요성이 너무 미미하다. 나는 플라톤-노자주의자며, 아웃사이더이니까.

 

이글의 기본전제는 3가지 기본연산(덧셈, 곱셈, 모드mode)과 지수는 다르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왜 지수가 기본연산에 들어가지 않는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