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映畵短評 140808

 

<최종병기 활> 별점 ; ★★★★

 

TV에서 방영하는 ‘최종병기 활’을 보았다. 이미 본 영화이지만, 시간을 보내야 할 상황이고 재미있게 본 영화라 다시 봤다. 영화 소개에 영화 ‘명량’ 제작팀이 제작한 것이라고 했다.

 

이 영화를 관통하는 가장 큰 기둥은 애국심이다. 애국심에는 김규항 씨가 (그리고 김규항 씨의 말을 듣기 전에 나 역시) 말했던 “국익이란 국가의 이익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지배 계급의 이익”과 같은 애국이 있다. 반면 이순신 장군의 말처럼 “장수된 자의 의리는 충을 좇아야 하고, 충은 백성을 향해야 한다”과 같은 애국도 있을 것이다. ‘최종병기 활’에서의 충은 후자다. 하지만 남이(박해일 분)가 역적 집안의 아들로 지배층, 기득권으로 진출할 수 없었다는 상황적 한계가 백성을 향한 애국심이 발생하게 된 이유가 될 수도 있다. 드라마 ‘추노’에서는 태하 (오지호)가 다른 천민에게 자신은 비록 현재 천민이 되었지만, 양반출신으로 당신들과 같은 격格 또는 급級으로 취급하지 말라고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 다음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전우애다. 남이와 갑용 (이한위 분), 쥬신타 (류승룡 분)와 완한 (이승준 분)의 관계에서 느낄 수 있다. 두 청나라 형제 장교의 우애도 우애를 넘어서는 전우애다. (내가 판단하기에) 군대가 일반 사회에 가장 다른 점은 목숨이 걸려있다는 것이다. 특히 전쟁 상황이라면, 삶과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전제가 깔린 상황은 전우애라는 폭발적인 감정을 수반하는데, 다른 곳에서는 이런 감정을 쉽게 경험할 수 없다.

 

세 번째는 고수高手들의 이심전심이다. 남이는 쥬신타를 죽일 수 있는 상황에서 한 번 살려준다. 다른 해석도 가능하지만 나는 고수들 사이에서는 ‘우리’라는 연대감이 작동했다고 판단한다. 유년시절 이성계 위인전을 읽었는데, 이성계가 왜구를 무찌르는 장면이 나온다. 왜구의 한 청년 병사가 출중한 무예로 우리 병사를 죽인다. 이성계는 그 왜구 병사에게 활을 겨누고 주저하는 장면이 나온다. 무예의 자질을 높이 샀기 때문이다. 추노에서도 태하와 용골대(윤동환 분)이 관계가 이와 비슷하다. 태하는 오랑캐 나라에 당신과 같은 장수가 있다는 것이 놀랍다고 하고, 용골대는 변방의 나라에 당신과 같은 장수가 있다는 것이 놀랍다고 하는 말을 주고 받는다. <우리와 그들, 무리짓기에 대한 착각>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라틴어로 호메로스의 서사시를 읊은 미국장교와 독일장교 이야기가 나온다.

 

위 세 가지의 공통점은 ‘우리’라는 소속감이고, 앞 두 가지는 보수 가치관의 중심인 공동체에 대한 충성이다.

 

결말에 의외의 에피소드가 있는데 ; 활을 쏠 때, 화살이 바람을 극복하는 것일까? 바람을 타는 것일까? 정답은 없다. 하지만 서양사고 방식은 바람을 극복하는 것이고, 동양사고 방식은 바람을 타는 것이다. 쥬신타도 동양 사람이지만, 쥬신타가 “바람을 극복하려 하는가. 쉽지 않을 것일세.”라고 이야기하면 남이가 “바람은 극복하는 것이 아니고 타고 가는 것일세”라고 말할 것 같았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쥬신타가 ‘바람을 계산하는가.’라고 말하고 남이가 “바람은 계산하는 것이 아니고 극복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