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가을산 > 마립간님께.... 3

비가 추적추적 내리네요. 
덕분에 오늘은 자전거 출근을 하지 못했습니다.
퇴근 전에 지난 몇개의 글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도덕의 정치, 좌파/우파,  아버지의 원리/어머니의 원리  

우선, 도덕의 정치라는 책은, 미국의 민주당과 공화당을 놓고 분석한 책입니다.
이성적인 해석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정책이나 선거에서 나타나는 대중의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가정의 가치가 국가에 투영된 아버지의 원리와 어머니의 원리라는 설명을 도입했습니다.

(그런데,  '이성적인 해석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대중의 반응'에 대해 우리 나라 정치권은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것을 '바람 (風)'이라고 부르지요. ^^  )

제가 보기에 도덕의 정치에서 아버지의 원리/어머니의 원리는 좌파/우파의 원리보다는, 바람구두님 서재의 정치성향 평가에서 제시된 '권위주의 - 자유주의'에 해당하는 구분이라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 분석한 미국의 민주당만 하더라도 '좌파'라 볼 수 없지 않나요?   

도덕의 정치의 저자 조지레이 커프가 뒷부분에, 어느 원리가 더 '옳으냐?'에 대해 쓴 부분에서 여러 가지 설명을 했지만, 저는 그 사람의 전공 분야 - 인지과학 - 로는 힘에 부친 것 같습니다.
오히려 이 부분을 파해치다보면 교육, 가정, 문화..... 를 거쳐 또다시 '인간의 본성' 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할 듯 합니다.

그래서 우파와 좌파의 문제보다는 권위주의와 자유주의를 놓고 판단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우파든 좌파든 권위주의를 싫어합니다. -- 이건 가치판단이나 논리가 아니라 그냥 제 감정입니다. 제가 어떤 행동이나 가치를 제가 납득할 수 있는 이유 없이 강요당하거나 따르는 것이 싫습니다.   
물론, 종교나 가정의 연장자에 대한 자연스러운 존경이나 신뢰의 가치를 인정합니다.
하지만, 이런 존경과 신뢰를 담보로 '규제화 된' 표현과 강제는 싫어합니다.

2. 종교와 권위, 자발적 가난,   

마립간님의 종교관을 제가 잘 알지는 못하지만, 종교의 권위 - 아버지의 세계관 - 를 인정하고, 금욕적인 생활을 선택하신 것처럼 나타납니다. 
마립간님의 종교관이나 초창기에 올리신 독서 이력에 대한 글을 보면, 사고나 관심의 방향이 저와는 거의 반대순서로 섭렵하시는 것 같습니다.  참 흥미롭습니다.

어렸을 때 저는 성당에 신실하고픈 신자였으나, 지금은 불가지론자, 혹은 다원주의자에 가깝습니다.
천국이나 지옥의 개념도 어려서는 당연하게 여겼으나, 지금은 그 존재에 대해 판단을 유보했습니다. 굳이 지금 답을 말하라면 믿지 않습니다. 오히려 '업(業)'의 개념이 제게는 더 합리적으로 다가옵니다.

마립간님께서 개신교를 택하신 이유들을 보면, 이성적인 믿음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드는 믿음의 전형인 것 같습니다. (그나마 이렇게 이성적인 분석과 대화가 가능한 경우조차 정말 드물어요.... ) 

마립간님의 글에서 제가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네번째 이유, 즉 배중률입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그렇기 때문에 선택을 요하는 종교에 대해서는 아마도 계속 회색지대에 있게 될 것 같습니다. 

신의 뜻을 인간의 머리로 다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 불가능 하듯,  이 우주와 생명체의 신비를 인간의 머리로 다 이해하려고 하는 것 역시 불가능합니다.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무조건 불신하거나, 무조건 믿어야 할 이유가 되지 못한다고 봅니다. ( 이런, 저는 미적분이나 통계도 잘 이해 못합니다 그려.... ^^  )

'내가 아버지로서 너에게 충분히 너를 위한 유익을 행할 것이다' 라고 하는 아버지 원리의 대전제...
저도 부럽습니다.  받아들이고 의탁하면 그야말로 '천국'일텐데요...  
그래서 전에도 썼듯이 '주의 기도'는 공감합니다. '그 나라가 이루어지소서'
하지만.... 아마 마립간님은 어떠신지 모르겠지만, '사도신경' 을 identity로 하는 기독교에는 영영 귀의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추신: 마립간님, 십계명의 네번째, 다섯번째 계명이 무엇인지 외운지 하도 오래 되어서 가물가물합니다.
게다가 개신교와 천주교의 번호에 따른 계명이 조금씩 차이가 나서 더욱 헤깔립니다.
(이런 차이는, 원래는 번호가 매겨지지 않은 계명을 10개로 묶으면서 나타난 차이라 생각합니다만..)

3. 제 친구요. 아직도 독신입니다.
그 친구 학생때 같이 노숙자 진료도 하고, 달동네 공부방 어린이도 돌보고 했었는데,
요즘은 정신분석 쪽에 심취해 있습니다.
정신과 전문의들 중에서도 정신분석을 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은데, 이 친구 이야기를 들어보면,
정신분석자들끼리도 서로를 분석해주고, 분석 받고 한답니다.  마치 도를 닦는 것 같아요. 
'분석을 마친 사람'이 - 제가 듣기에는 마치 '득도했다'는 것과 비슷하게 들리는데 - 아직 우리 나라에는 없다고 할 정도네요.

'누구는 분석을 마쳐가고 있다더라' 라고 말하던데, 솔직히 저는 잘 모르겠어요.
반박은 못했지만, 속으로는 '방이 어질러져서 말끔히 치워놓았는데, 그 방이 다시 어질러지지 않을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가시지 않더라구요.   ^^;;

어쨌든.... 이 친구, 저도 분석을 받아볼 것을 권하더라구요.
일주일에 두번씩, 서울에 있는 분석가를 만나서 분석받으라구요.
제게 하는 말이, '분석을 받으면, 너 자신에 대해 더 잘 알게 돼. 그리고 주위 사람들에겐 오히려 이기적으로 보이게 될 수도 있지. 하지만 그게 너 자신을 찾는 것일 수도 있어.' 

음... 저도 제 속에 있는 것이 궁금하기는 해요. 하지만, 한편으로 제 안에 꽁꽁 눌러놓았던 것들이 드러날 때 도질 아픔이 두렵기도 하구요. 

이런 친구이다보니, 자발적 가난 여부는 이 친구 관심 밖에 있는 것 같습니다.
더구나, 결혼한다고 배우자 가치관을 따라 갈 사람도 아니지만, '사랑'하게 된다면 혹시....  ^^

4. "맹목적 추종이 아닌 무정한 압박"

노빠들이 노무현을 지지한다면, 
개혁을 이루고 노무현을 성공한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맹목적으로 노무현을 추종하기 보다는
비판과 압력을 넣는 것이 더 도움이 될거라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 흐흐. 이 지점도 시민단체 내부에서 의견이 엇갈리는 부분이죠.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산 2004-09-13 0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립간님, 님의 답글 밑에 저의 답글을 달아놓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