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읽는 도교 - 도교의 역사에서 배우는 개인의 행복한 삶 한 권으로 읽는 유불도 1
장언푸 지음, 김영진 옮김 / 산책자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 도교와의 인연
- 때 늦은 독서

 
도교에 대한 호감은 너무 오래되고 시나브로 시작되어 처음 좋아하게 된 때의 기억조차 없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TV에서 불교영화 (주인공이 목련이고 인터넷 검색을 해 보니 <목련 존자>가 거의 확실한데, 한국영화인지 조차 모르겠다.)를 해 주었는데, 저는 주인공 보다 잠깐 조역으로 나오는 젊은 청년 모습을 한 바위에 갇힌 산신령 (이름에 정 뭐라고 했다.)이 더 마음에 들어 했습니다.

 
제가 왜 도교를 좋아하게 설명하기는 간단하지 않으나 몇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동양권 문화가 도교 문화의 영향 아래 있습니다. 불교의 문화의 상당 부분은 도교와 겹칩니다. 중국의 불교가 정착하는데 있어, 이미 토속신앙으로 자리 잡은 도교와 공통점이 많아 쉽게 정착했다고 합니다. 저도 책을 읽다보면 어떤 것은 이것이 도교에서 유래한 것인지 불교에서 유래한 것인지 혼동될 때가 있습니다. 단편적으로 신라 시대의 골품제도에서 성골, 진골의 어원은 도교의 성인과 진인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이유는 자연自然( 이때의 자연은 자연 환경의 자연, 도올 김영옥의 표현으로는 그린벨트의 자연)인데, 도피적 성향도 있지만 목가적인 분위기, 안빈낙도의 매력입니다. 영화에서 보면 도교 계통의 사람은 흰색이나 회색 복장을 하고 시골에서 살고 있습니다. 도교 회화에서도 산천의 배경은 기본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철학적 의미의 자연自然( 이때의 자연은 스스로 그러하다. 무위자연의 자연)입니다. 저의 가치관 중에 하나가 ‘하지 않은 것은 하지 못할 이유가 있다.’입니다. 또 다른 말로 표현하면 ‘때론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입니다.

 
기억나는 영화대사 ;
http://blog.aladin.co.kr/maripkahn/4331965

 그 이유를 찾는다는 것이 플라톤적 사고이나 그 이유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것조차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가 이유 없음일지라도.

 
이 자연은 무욕無慾과도 연결되는데, 저는 무욕이 너무 좋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과욕의 끝이 대부분 좋지 않는다는 교육의 결과도 연관이 있었을 것입니다.

 
도교에 관해 철학적 이해 없이 (지금이라고 해서 철학적 이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도교를 노자와 장자로 대표된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조금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노자는 플라톤과 공통점이 있고, 장자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공통점이 있는 것 같고, 황로사상( 이 책을 읽은 후로는 노장 사상을 황로사상으로 바꿔 부르기로 했다.)은 또 다른 별개로 여겨집니다. 황로사상은 디오게네스와 공통점을 갖는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친숙해서 그런가? ‘도교’라고 명시된 제목의 책을 읽은 기억이 없네요. 이 책은 읽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사조영웅전>, <신조협려>에서 전진교의 왕중양, 구처기 등의 인물과 활인사묘등이 도교와 관련된 것들이라 체계적인 것을 알고자 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새로 알게 된 사실은 중국에서는 역사, 사회 전반에 걸쳐 우리나라와 비교되지 않을 정도 컸다는 것입니다. 도교의 인물과 용어가 역사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도 알게 되었고 삽화도 꽤 마음에 들었습니다. 궁금한 것은 이 책에 언급된 수많은 도교 서적들의 이 이름만 남은 것인지, 아니면 실존하는 것인지와 그 책들의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신선술에서 과학적인 면은 어느 정도 있는지 (아니면 전혀 없는지), 현대의 초자연 현상(투시, 염력, 텔레파시)와 어느 정도 공통점이 있는지 등 여러 가지가 떠오릅니다. 간략한 도교에 대한 정보는 얻었으나 보다 전문적인 강의를 듣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