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안티 페미니스트(anti feminist)다. - 계속 말려주세요.
# 현재 여성의 불평등이 있다면 어디에서 왔을 까요. 아마도 제 생각은 교육과 직업(경제력)이 아닐까요. 수렵 농경사회에서는 노동력이 경제력이고 이 이유 때문에 불평등한 대우받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 여성이 가장 불평등을 느끼는 것은 아마도 직장을 얻고 승진을 하는 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해도 직장문화에 여자가 적합하지 않은 것을 고려하더라도 이 부분만큼은 불평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직업 기회에 있었어도 청년층을 기준으로 하면, 맞는 이야기이지만, 노년층을 이야기하면 또 달라집니다. 노인 여성은 식당에서 일을 하던, 파출부, 아기보기 등 직업 선택의 여지가 있지만, 노인 남성은 아파트 경비원 이외에 특별히 떠 오르는 것이 없습니다.
* 저의 집에서 저와 여동생은 똑같은 교육의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간혹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집안 형편이 어려워 저와 여동생 중 하나만 교육을 받아야 된다면, 어떻게 됐을까. 아마도 제게 기회가 있었겠지요. 그러나 잠재적인 이런 불평등은 잠재적인 것으로 끝났습니다. 아마 다른 가정도 비슷했으리라 생각합니다. 현재에는 경제적 여유가 아주 없지 않다면, 아들 딸 구별하지 않고 교육의 기회를 주리라 생각합니다.
* 여동생의 에피소드 : 동생이 ‘H여고’를 다닐 때였습니다. 교감선생님 방에서 전화를 대신 받게 되었는데, ‘H고’라고 말하니, 교감선생님이 다음부터는 ‘H여고’로 받으라고 하였습니다. 당시에는 H 남자 고등학교가 없었기 때문에 동생표현이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어감은 어색했지만.
* 제가 학생회 활동을 할 때에는 여성부가 있었습니다. 진짜 하는 일 없는 부서였습니다. 지금은 여성부가 없습니다. 지금 학과에 여학생이 절반 정도된 이유도 있겠지만, 여학생이 학생회 임원으로 참가하니까요. 그 당시 임원에 여학생이 적었던 이유가 학생수도 적었지만, 남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임원으로 참가하라고 권유해도 여학생들은 거절하던군요. 공부나 하겠다나. 어째든 여학생부 여자 임원 한명 뽑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 - 이것이 남자때문일까요. 여자때문일까요.
* 결혼을 앞두고 있는 여자 분이 있었습니다. 제가 물어봤지요. 여자가 결혼하면, 남편 시중들랴, 시집 눈치를 보랴, 뭐하러 결혼합니까. 여자의 답변이 남편 비위 조금만 맞춰주면, 평생 먹여 주잖아요. 그리고 얼마 후에 결혼했습니다. 저는 여자와 선보는 자리에서 결혼해서 나는 아내 비위맞추면서 살고, 여자가 나를 평생 먹여 주는 그런 사람이 좋다고 농담했다가(절반은 진담임) 거절당했습니다.
* 결혼에서 여자는 자신보다 조건이 좋은 남자(학벌, 체격, 수입)을 선택해서 남자에게 의지한고, 남자는 자신보다 조건이 조금은 나쁜 여자와 결혼하여 여자를 지배하려는 것은 나만의 편견일까.
* 제가 좋아하는 여성 중에 소피 제르맹(프랑스 여류 수학자)가 있습니다. 이 분은 독신으로 살았습니다. 이 분을 소개한 분은 독신으로 산 이유를 작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그 당시의 남자는 능력있는 여성을 아내로 맞이할 만한 포용력 있은 남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실은 모른 것이고, 저 같으면, 제르맹에게 구혼한 남자가 많았지만 자신에 걸맞는 남자가 없었기 때문에 제르맹이 결혼을 거절한 것이라고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참고서적>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존 그레이 지음, 김경숙 옮김/친구미디어
우리 부부는 너무 달라요/메이홀 부부/네비게이토
타고난 성, 만들어진 성/존 콜라핀토 지음, 이은선 옮김/바다출판사
성의 계약/헬렌 피셔 지음, 박매영 옮김/정신세계사
매트 리들리의 붉은 여왕/매트 리들리 지음, 김윤택 옮김/김영사
어리숙한 척, 남자 부려먹기/에스테 빌라 지음, 조선희 옮김/황금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