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보스 - 나를 키우는 독종
최경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그래 그래, 끄덕이면서

 (변명부터 하지면 자기 계발서를 읽지 않는다고 이야기 한지 얼마 안 되어) 이 책을 읽게 된 것은 친구 ㅂㅇㅎ의 권유가 있었습니다. (실제로 책은 ㅂㅇㅎ의 아내가 읽었는데.) 저의 상황에 꼭 맞는 책일 것이라며.

 제가 실용서를 읽지 않는 이유는 재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비유해서 설명하자면 구구단 곱셈을 이해하는 것은 좋은데, 계산을 틀리지 않기 위해 문제집을 푸는 것은 흥미를 느끼지 않습니다. 인문서를 읽는 것은 보편적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라면 실용서는 그 원리를 구체적 상황에 적용한 것입니다. 대개 읽고 나면 ‘다 아는 이야기잖아.’라는 느낌입니다.

 그런데 개인의 구체적 상황과 어울리면 느낌이 색다릅니다. 유행가도 연애를 한다면 ‘조조할인’의 노래가, 결혼을 한 직후에는 ‘10월에 어느 멋진 날에’, 애인과 헤어졌다면 ‘이별이야기’나 ‘헤어진 다음날’ 등과 같은 노래.

 우석훈씨는 ‘(본인은) 진보적인 사람들과만 만들 수가 없다. 주위의 대부분이 보수적인이 사람들인데 어떻게.....’

p 21 대부분의 보스는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이 훨씬 현실적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직장인의 96퍼센트가 복수를 꿈꾸고 있을 리가 없다./세상의 모든 보스는 나쁜 보스 90퍼센트, 이상한 보스 5퍼센트, 좋은 보스 5퍼센트로 구분하면 틀림없다.

  <괴짜 경제학>에서 회사의 고위 직급으로 갈수록 도덕성이 떨어진다고 했는데, 그 자리가 도덕성을 떨어뜨리는 것인지, 도덕성이 떨어지는 사람이 승진을 잘 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했습니다.

 저는 컴퓨터 소프트 프로그램 정품을 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그만큼 돈이 있었으면 합니다.) 교통 법규를 모두 지키면서 운전을 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그 만큼 약속 시간에 늦어도 불리한 대우를 받지 않을 ‘갑’의 위치였으면 좋겠습니다. 아니면 그렇게 여유롭게 길에서 시간을 보내도 되는 위치였으면 좋겠습니다.)

p 36 정말 남과 다르게 살 수 있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1퍼센트 미만이다. 누구나 빌 게이츠처럼 될 수 있다면, 김연아처럼 될 수 있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99퍼센트의 인류는 그렇지가 못하다.

 호기豪氣있게 도장을 꾹 눌렀다. 세상은 어떻게 다른지 두고 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