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슈탈트(Gestalt)

 제가 꽤 오랫동안 궁금하게 생각한 것이 '정신mind'에 관한 것들인데, 10년전만 하더라도 정신에 관한 연구는 과학으로 대접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요즘에 컴퓨터, 신경과학, 수학의 발달로 정신에 관한 것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컴퓨터에서 사람쪽에 가까와지는 인공지능 연구와 사람 정신에서 컴퓨터로 가까와지는 연구를 하는 인지과학이 있습니다.

 

 인지과학에 관한 책을 읽다 보면 게슈탈트Gestalt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는데, 책을 읽을 때마다 그 의미를 몰라 옆에 아랫글을 복사해 놓고 읽습니다. 그래도 읽다 보면 그 의미를 자주 잊어 버립니다. 게슈탈트, 게슈탈트,...... 아무리 읽도 떠 오르는 것이 없는 게슈탈트

 

* 게슈탈트에 대한 설명


 영어의 '구성'(configuration)에 해당한다. 20세기 초엽 베르트하이머(Wertheimer), 퀼러 (Kohler), 코프카(Koffka) 등이 주축을 이룬 심리학의 한 학파가 주요개념으로 사용하면서 일반화되었다. 인간 경험의 궁극적인 요소가 '원자적'성분으로 분해될 수 없는 일종의 구조 내지 구성이라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하고 있는데, 원리 자체는 새롭거나 독창적인 것이 아니지만 이전과는 달리 체계적인 실험을 거쳐 이 원리를 뒷받침했다는 데에 이 학파의 의의가 있다.


다음의 다섯 가지 보조 원리는 게슈탈트 학파의 이론적 특징을 보다 명확히 드러낸다.

① 모든 지각 경험은 배경으로부터 구별해낸 하나의 패턴임을 주장하는 '상(figure)/배경(ground)'의 원리.

② 자극의 패턴과 지각 구조의 형성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주장하는 '구별'의 원리.

③ 불완전한 구조로 변형되는 경향이 있음을 주장하는 '밀폐(close)'의 원리.

④ 한 지각 구조가 동일한 지각 패턴에 근거하고 있는 다른 지각 구조를 대신하는 경향이 있음을 주장하는 '좋은 게슈탈트'의 원리.

⑤ 생리적인 혹은 두뇌상의 과정과 일치가 있음을 주장하는 '동형구조(isomorphism)'의 원리.


 게슈탈트 심리학은 다른 심리학과는 달리 예술적 경험에 대해 주목을 많이 해왔는데, 예를 들어 예술현상을 통해 자신의 정당성을 증명해 보이는가 하면 역으로 그 이론을 예술적 가치 평가의 문제를 설명하는 데 적용하기도 한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말하는 지각 구조라는 것이 다수의 구성 요소들의 단순한 집합물로 환원될 수 없는 예술적 형식의 특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는 점이 흔히 지적되고 있다. 루돌프 아른하임 같은 학자의 저작은 예술적 가치평가의 문제에 새로운 접근 방식을 보여주기도 한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한편으로 감정이입 이론을 비판하면서, 이른바 '미적인' 혹은 '정서적인' 성질(유쾌함, 우아함, 엄숙함 등)은 우리가 대상을 향해 투사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통해 직접 지각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