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록수에 관한 생각
누구나 마찬가지겠지만 상록수하면 지조가 생각합니다.
성삼문의 시조를 보아도
‘이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낙장송 되었다가
백설이만건곤 할제 독야청청하리라.‘
계절의 변화에도 푸름을 간직하는 나무! 상록수를 포함한 침엽수는 양수림으로 분류되고 활엽수는 음수림으로 분류됩니다. 언뜻 첫 인상에는 울창한 열대우림을 생각하면 활엽수가 생각나서 활엽수가 양수림으로 생각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침엽수는 충분한 일조량이 있어야 자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일조량이 충분해야 나무가 자랄 수 있기 때문에 큰 침엽수 밑에서는 자신의 씨앗으로부터 생긴 나무가 자라지 못하고, 하물며 자신의 잎조차도 햇볕을 쪼일 수 있는 바깥쪽에만 잎이 있고 안으로 잎이 나지 않는 것을 알았습니다.
여기에서 연상된 것이 후진을 양성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상록수는 후진양성에 미흡하여 활엽수에게 자리를 빼앗기는구나! 음수림은 비교적 적은 일조량으로도 자랄 수 있으며 자라고 난 후 큰 잎으로 그늘을 지게 만들므로 양수림과의 생존경재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생물학 용어로 양수림에서 음수림의 숲으로 변하는 것을 ‘천이’라고 하지요.)
일본 바둑계의 원로 세고에 겐사쿠(瀨越憲作)는 일본의 하시모토 우타로(橋本宇太郞), 중국의 오청원(吳淸原), 한국의 조훈현을 제자로 삼아 3국의 세 천제를 문하생으로 두었습니다. 그에 반에 기타니 미노루(木谷實)는 많은 사람을 제자로 두었는데, 가토 마사오, 다케미야 마사키, 고바야시 고이치, 조치훈 등이 포함됩니다. 세고에의 계보에 임해봉이나 이창호도 속하겠지만 일본 바둑에서는 기타니 문하생이 많아 기타니 계보가 주류를 이룬다고 합니다.
혼자는 독야청청하지만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는데 무능력했던 상록수 - 사람사이에서 지조가 있는 사람이 흔하지 않은 것도 지조가 세상살이를 역부족으로 만드는 것은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