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 붙이기
이름의 역할은 부르기 위한 것입니다. 그래서 부르는 것 외에 별다른 생각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각자의 이름이 지어질 때, 즉 부모님이 자녀의 이름을 지을 때 그냥 아무렇게 짓는 것이 아니더군요. 훌륭하게 자라라고 한자든 한글이든 뜻을 담아 짓게 됩니다.
대체적으로 이름을 짓게 되는데, 대체적으로 몇 가지 공통점이 있어 제가 느낀 것을 적어보면. - (과학 분야에서 특히 느낀 점)
1. 모양을 보고
‘사자바위’는 제가 그 바위를 보지 않더라도 사자 모양으로 생겼구나 하고 미리 넘겨 집습니다. '용바위'는 용머리나 아니면, 뱀처럼 길게 꾸불꾸불한 바위가 연상됩니다. '호빵'이라는 별명을 가진 사람은 아마도 둥글둥글하게 호인형으로 생겼을 것입니다.(외모로 별명 붙이는 사람, 정말 싫다.) 사람 등에 '승모근'이라는 근육이 있는데, 마름모꼴 생긴 근육이 스님이 쓰는 모자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입니다.
2. 기능에 따라
'날개'는 왜 날개인가. 날라 다니므로 날개지. ‘날다’에서 파생된 이름이겠지요. '굴근'이라는 근육이 있는데, 왜 굴근이라고 붙혔는가? 구부리는 역할을 하니 굴근이라고 붙였지요. ‘꾀꼬리’라는 별명이 있다면 아마 노래 잘 부르는 친구일 겁니다.
3. 원천에 따라
우리 동네에 예전에 ‘양평상회’라는 가게가 있었는데, 아마도 주인장 두 분의 고향은 양평일 것입니다. '춘천댁' 아줌마가 계시면 아마도 고향이 춘천이겠죠. 왜 바가지일까 박으로 만들어서 바가지 아닌가요. 호박, 호두 호주머니 등은 ‘호’란 글자가 들어가는데, 이는 호족에서 유래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생물학, 천문학 등에서 잘 모른 것이 발견되면, 모양에 따라 우선 이름을 붙이고 (혹은 발견자의 이름을 응용하여 붙이고), 나중에 기능이 밝혀지면, 기능에 따라, 원천이 밝혀지면 원천에 따라 용어를 변경하는 경우 많다고 느꼈습니다.
* 발음이 비슷해서 - 이것은 이름이 변해다고 하는 것이 맞겠지요. 이런 것 아세요.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왜 설날 전날이 까치설날로 불리는 줄 아세요. 설 전날을 ‘작은 설’이라 부르고 작다는 뜻의 낱말에 아찬, 아치가 있어 아치설로 불리우다가 까치설로 변해 버렸습니다. 돼지고기의 맛있는 부분의 하나인 ‘갈매기살’은 왜 갈매기살이 되었는지 아세요. 원래는 가로막 살(횡경막)이었는데, 발음을 편하게 하려고 갈매기살이 되었습니다. (세번째 원칙을 따르면 갈매기 새의 고기가 되어야 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