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들이 아니라 학교가 문제다 - 현 교육 시스템에서 아들을 성공시킬 학습 전략 8가지
마이클 규리언.캐시 스티븐스 지음, 고정아 옮김 / 큰솔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 나이가 들었다고 하기에는 어른신들이 야단치실 것 같고, 하지만 청년이라고 하기에는 나이가 조금이 있는 저의 나이에서... 스스로에 대해 눈에 보이지 않게 조금씩 생활태도와 사고방식에 변화를 느낍니다. 지금 보다 조금 더 어렸을 때는 ‘왜?’라는 것에 관심을 갖고 살았는데,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어떻게?’로 관심이 이동되었습니다.
많은 책에서 남녀의 차이, 신체적인 면뿐만 아니라 사고체계 차이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것은 후천적 요인뿐만 아니라 태어날 적부터 차이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 방법에서 있어서도 남녀(아들과 딸)에 차이를 두고 교육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논리는 차이와 차별의 한계를 명확하게 긋기 어렵다는 점에서 차별적 교육, 불평등 교육으로 변질될 수도 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교육제도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고등학교 평균화 정책의 유지든 아니면 평준화 폐지든, 그리고 최근 논란이 된 ‘고교 배정 개정안’도 목적은 학생들을 잘 가르쳐 보자는 것입니다.
그런데, 잘 가르치는 것이란 어떤 것일까요? 50 만명 넘는 수험생 하나 하나에 맞추어 50만개에 해당하는 교육제도가 필요할까요? 우선 남녀가 다르니 남학생을 위한 교육제도와 여학생을 위한 교육제도로 둘로 나눈 것이 타당할까요?
주위의 아이들(또는 학생들)을 보면서 이 아이의 재능은 어떠어떠하니 어떻게 교육을 시켜 어른이 되면 무슨 일을 하는 것이 좋겠다고 눈에 띄는 아이가 많던가요. 제가 보기에 대부분의 아이들은 평범합니다. 또한 모든 부모님들 현명하여 자신의 아이들의 장단점을 알고 이에 맡게 키울 능력을 가졌을까요?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상황 때문에 제도권 하에 안전한 직업(속된 말로 ‘사’가 들어가는 직업)을 추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스라엘의 사막에도 석유(에너지)를 사용하면 정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 모든 아이들은 장점과 동시에 단점을 갖고 있는데 적절한 노력(부모님의 돈, 시간, 정성을 포함한)이 더해진다면 모든 아이들은 훌륭한 성인으로 자랄 것입니다. 서구에서 교육을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시청각 교재를 사용하였으나 실패하였다고 합니다. 여러 학생들에게 이런 교육 방법은 (이 책의 ‘학습 전략 5 ; 언어 과목 성적부터 올리자’와 유사) 구체적으로 적용되기가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갖고 견해로는 현대 사회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적합합니다. 아들, 딸의 교육 제도뿐만 아니라. 결론적으로 아들의 교육은 에너지는 더 소모되는데 성공의 확률은 불확실하다. 어찌하겠습니까? 여성만으로 사회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많은 부모가 아들을 자식으로 갖고 있으니... 저는 다른 결론으로 ‘학교가 문제다’가 아니고 ‘좋은 부모가 됩시다.’가 옳은 결론으로 생각합니다.
이 책은 아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몇 가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니 좋은 부모가 되도록 합시다. 특히 아들에게는 더욱 더 필요한 조건입니다.
밑줄 긋기 ; p 20 ‘상황을 올바르게 파악하자’
p 63 ‘애착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학습도 가능하다.’
(알라딘 서평단에 뽑혀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