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지음 / 푸른숲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에 대한 내 리뷰를 찾아보다가 깜딱! 놀랐다.  없는 것이다.

헉!  이럴 수가... 읽었는데 왜 없지?  작년에 책 나오자마자 읽었으니까 일년도 더 지났는데 왜 리뷰가 없을까 고민해 보았다.  음... 내가 서재질을 시작한 게 올해였구나...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을 가볍게(?) 인정했다.

제목 : 개

이 단순명료한 제목은 김훈의 문체만큼이나 깔끔하고 또 단호했다.  난 이 개가 설마 멍멍 개일까? 생각했는데 의심 없이 바로 그 개였다.

사람의 개 이야기가 아니라, 개의 개, 그리고 사람 이야기였다.

읽으면서, 소탈하게 자꾸 웃게 되었다.  김훈답다는 생각이 자꾸만 들어서. 견공을 주인공으로 삼아도 그의 작품은 결코 격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진솔하고 또 인간은 스스로 하지 못할 말들을 적나라하게 해주니 말이다.

빗살무늬 토기의 추억에서는 주인공의 말투가 참 부담스러웠다.  이건 선입견이지만, 칼의 노래에서 인상깊었던 그 이순신의 목소리가 다른 캐릭터를 통해서 들려오게 되면 왠지 화가 나거나 섭섭한 기분이 든다.  같은 김훈 작가의 글이고, 또 빗살무늬 토기의 추억이 전작임에도 불구하고.

반면, 강산무진에서 화자의 목소리가 이순신의 목소리(실은 말투나 문체)를 닮아 있는 것은 괜찮았다.  그게 캐릭터의 성격이었으니.

그래서 이 작품에선 그런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 솔직하고 단순하고 또 정직한 개의 목소리가 나는 참 듣기 편했다.  개의 눈에 비친 인간 세상의 군상은 걸러낼 것도 없이 직접적이어서 어느 순간 조금 불편하기도 하지만, 그건 뜨끔함의 정체지 작품의 탓이 아니다. 

개의 발바닥에 붙어 있는 굳은 살. 자신이 살아온 삶의 적나라한 흔적들.  치열하기까지 한 생존싸움, 혹은 자존심 대결까지.  어쩌면 그냥 '인간'에 비유해도 하나 틀리지 않을 그 모습들이 이 작품을 더 인상깊게 만드는 지도 모르겠다.

마지막으로 표지 이야기.  내가 참 좋아하는 색깔들의 조합, 그리고 여백의 미, 하다 못해 글씨의 폰트마저도 참 마음에 든다.  이젠 책의 외관도 구매에 상당 부분 영향력을 끼치는 것 같다.  살까말까 하는 책이 디자인이 이쁘면 그래 한번 사보자! 하게 되는데, 그런 책이 디자인이 꽝이라면 슬그머니 내려놓을 가능성이 있다.  책은 책장에 꽂혀서도 한 번 더 폼을 잡아야 하니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