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짜 1부 세트 - 전4권 - 지리산의 작두 허영만 타짜 시리즈
허영만 그림, 김세영 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영화 타짜를 보고 나니 원작이 궁금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새로 출간된 타짜는 앞서 출간된 타짜 1부 7권을 묶어서 4권으로 만들었다.   허영만 글/그림인 줄 알았는데, 글만 허영만이고 글은 김세영 작이었다.

사실, 예쁘거나 멋진 그림체는 절대 아니다.  일단 내 기준에서.  게다가 배경이 1950.60년대이기 때문에 돈의 기준이 일단 다르고, 화투라고는 그림 맞추는 것밖에 모르고 다른 것은 전혀 모르는 내가 볼 때 이 작품은 수월하게 읽히진 않는다.

그렇지만, 일단 끝을 보고 싶은 매력이 있다.  영화와 어떻게 다른지도 비교해 보고 싶었다.   읽는 동안은 내내 별 넷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과감하게 별 다섯으로 올라갔다.  저자의 승부사 기질이 보였던 것일까.  막판 뒤집기가 성공했다고 보아도 좋겠다.

엔딩만 따진다면 영화보다 훨씬 완성도가 높았다.  화끈하게 끝냈지만 2부도 보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으니까.

영화는 1부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교묘하게 나누고 또 합해버렸다.  가장 달라진 캐릭터는 정마담인데, 일단 김혜수의 매력을 십분 발휘시켰고, 능수능란한 작업녀 이상의 '욕심'도 추가시켰다. 영화에서 또 잘 살린 인물은 '아귀'와 '짝귀'인데, 특별히 역할이 더 늘어난 것은 아니지만, 일단 영화는 음악과 그밖의 효과를 더 추가해서 극적 긴장감을 200% 올릴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걸 극적으로 잘 이용한 게 두 사람으로 보인다.

특히 아귀는 영화 속에서 거의 '살기'가 느껴질 정도의 캐릭터였다.(배우들이 어찌나 연기를 잘하던지.)

그러나, 만화의 엔딩을 따라가지 못한 한 캐릭터가 있으니, 바로 고니에게 십년 안에 노름을 끊지 않으면 자기 손으로 죽이겠다고 한 바로 그 남자다.  이 캐릭터를 영화에선 왜 안 살렸을까 모르겠다.  그랬다면 영화도 2부 3부 계속해서 늘릴 수도 있는 자연스런 계기가 되었을 텐데.(물론, 지금이라도 다음 시리즈를 만들 계기는 있지만.)

2부의 제목은 "신의 손"이라고 한다. "지리산 작두"보다 얼마나 문학적인가.  시대적 배경이 과거로 올라갈 지, 뒤로 넘어갈 지는 작품을 보지 못해서 아직 모르겠다.  절대로 교육적이지 않은 작품이지만, 재밌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인정해야겠다.  그리고 솔직히, 매력 있다.  19세 구독불가는 당연한 얘기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