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영화·드라마 세트장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충분한 사업타당성 조사도 없이 앞다퉈 세트장을 짓는 바람에 녹지가 훼손되고 갈수록 적자가 느는 등 부작용이 곳곳에서 불거지고 있다. 특히 세트장을 건립하는 과정에서 각종 불법행위가 성행, 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17일 세계일보 취재팀이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세트장 현황을 조사한 결과 28개 시·군에 35개 세트장이 지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또 충북 단양군과 영동군, 경기 용인시, 전북 김제시 등 4곳에선 세트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현재 건립이 완료된 세트장 중에서 경남 합천의 ‘서울 1945’ 세트장(85억원) 등 29곳은 지방비 및 국비 730억여원이 투입됐고 6곳은 방송사나 제작사에서 자체 건립한 시설로 파악됐다.

조사 결과 지자체 예산이 투입된 세트장(29곳) 중에서 전남 완도군 ‘해신’ 세트장과 경남 합천의 ‘영상테마파크’ 등 5곳만 소폭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을 뿐 대부분 운영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전북 익산의 ‘서동요’ 세트장과 충북 제천의 ‘태조 왕건’ 세트장 등 15곳은 드라마가 한창 인기를 끌 때보다 70∼80%나 관람객이 감소해 관리 비용이 수입을 초과했으며, 전북 부안의 영상테마파크는 겨우 현상유지만 하고 있다.

나머지 8곳은 세트장 오픈 기간이 짧고 입장료를 받지 않아 흑·적자 분류가 어려운 상황이나 관광객 감소로 사실상 적자나 다름없는 실정이다. 적자를 보는 세트장이 전체의 79.3%에 이르는 셈이다.

광주시 남구가 16억5000만원을 투입한 세트장과 충주시가 5억원을 투입한 살미면 사극촬영장 등 4곳은 화재와 홍수로 폐쇄되거나 철거돼 예산만 날렸다.

게다가 세트장 건립과정에서 불법을 저지른 제작사 관계자와 공무원이 무더기로 사법처리되는 일도 잇따르고 있다.

모 드라마 제작사 대표 김모(44)씨 등 5명은 충남 당진군 소난지도에 세트장을 만들면서 산림 6000여평을 훼손한 혐의(산림법 위반)로 지난 1월 기소됐다.

순천시는 지방비와 특별교부세 63억원을 들여 ‘사랑과 야망’ 세트장을 건립하면서 전남도의 투융자심사를 거치지 않았다가 공무원 3명이 문책을 받았다.

우석대 역사문화관광학과 조법종 교수는 “중국은 역사의 모습을 원형대로 복원, 생활 및 관광공간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하면 촬영장소로 쓴다”며 “지자체의 관광·개발사업 등과 연계해 수명이 긴 튼튼한 세트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주·광주=박찬준·박진주 기자

skyland@segye.com

*****

2년 전에 전북 부안에 갔을 때 불멸의 이순신 세트장을 한참 짓고 있었다.  거북선 짓는 모습이랑 테마 파크 짓는 모습을 보고 왔는데, 뭔가 좀 생뚱맞다는 생각을 했었다.  지금이야 달라졌겠지만, 당시엔 버스조달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무조건 택시로 이동해야 했고(왕복 요금을 요구한다.) 버스가 있는 곳도 한시간에 한 대.. 이런 식이었다.

월드컵 때엔 쓸데없이 경기장을 많이 지어서 예산을 낭비했던 기억이 난다.

울 가게 앞에는 지난 달 가로등 공사를 했는데, 밤이 깊어도 불 켜주는 법을 본 적이 없다.

일단 예산을 쓰고 보자는 심산인가?  탁상행정 말고, 제발 도움이 되는 행정을 펼쳤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