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금이 있던 자리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9
신경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세를 떨치는 작가임에도 오래도록 보지 못하다가 뒤늦게 읽게 된 책이다.  여러 단편 소설들을 묶은 것인데, 이전에 신경숙 소설을 접해 보지 못했던 나로서는 조금 소화하기 힘든, 어찌 보면 난해하고, 또 어찌 보면 참 코드가 안 맞는 부분이 많았다.


첫 번째 소설은 표제와 같은 “풍금이 있던 자리”이다.  제목에서의 ‘풍금’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작품 속에는 풍금은커녕, 풍금이 나올 법한 분위기도 전혀 출현하지 않는데 말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그 뒤로 이어지는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 비교적 쉽게(!) 다가온 작품이었다.  편지를 쓰는 형식을 빌었지만 사실은 주인공 화자의 독백으로 주욱 이어지는 이 글은, 매우 서정적이었고 그 애틋한 감정으로 인해 ‘유부남을 사랑한’ 그녀를 동정하게 만들고 결코 돌을 던지지 못하게 만드는 장치를 발휘한다.  그리고 이 작품 안에서는 일방적으로 나쁜 사람이 등장하지 않고, 저마다의 용서해주고 싶은 이유들, 사연이 깃들어 있다.  자신으로 인해 다른 사람의 눈물을 희생시키지 않기 위한 그녀의 인내는, 결국 사랑의 숭고한 힘으로 승화하기에 이르고 그랬기에 그녀가 끝내 회복되리라는 것을 의심치 않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어지는 여타 다른 작품들은 참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일단, 쉼표 등을 이용한 대화의 구분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글을 집중해서 읽어야만 했고, 집중하지 않으면 누구의 대화인지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내용으로의 접목이 용이치 않았다.  또한 글을 한참 동안 읽어나가야 작중 인물이 남자인지, 여자인지,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분간할 수가 있으니 이 또한 놀라운 충격이었달까.  저자는 아마 이 같은 효과조차도 의도했던 것이겠지만, 기존에 접해보지 못했던 그녀의 문체에 적이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마지막 소설, 아니 자전적 일기에 가까웠던 “멀리, 끝없는 길 위에”에서는 앞서 소개한 각 소설들의 모티브, 혹은 소재들이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언급이 되어 있었다.  이것들이 한데 모여 소설집으로 묶인 것이었으니 이 또한 저자의 치밀한 계획 하에 된 것이 아닐까 짐작된다. 


책을 덮으면서 머리 속에 줄곧 침침하게 남아있던 단상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이 소설집들의 주인공이 하나같이 행복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들은 모두 문제를 갖고 있었고, 과거의 상처를 아직도 치유하지 못해서 그 안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첫 번째 단편인 “풍금이 있던 자리”만 엔딩에 이르러 긍정적이고 희망이 다소 보이는 모습이 연출되었을 뿐, 그 나머지의 글들에는 ‘죽음’이 끊임없이 나왔고 현재의 시점과 과거의 시점이 어지럽게 교차하면서 종국에는 살아있는 작중 화자도 꼭 죽음을 향해 달려드는 듯한 느낌마저 주고 있다.


“풍금이 있던 자리”라는 비교적 따스한 제목의 이 소설집은, 그래서 다 읽고 난 뒤에 뭔가 개운한 맛보다는 어딘가 안타깝고 깨끗지 못한... 그래서 조금 불편한 책이었다.  그것은 작가의 필력의 문제가 아니라 그녀가 살았던, 성장했던 시대의 아픔과 상처가 아직도 치유되지 못하고 남아 있는, 그리고 이 시대에 잔재되어 있는 흔적의 탓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동시에, 그 혼란기를 사무치게 겪지 못했던 조금은 더 어린 독자인 내 무경험 탓이리라.

 

그런데 나의 한 지인이 신경숙의 "외딴방"을 선물했다.  보고나서 너무 불편했다고, 다시 읽을 일이 없다며 가지라고 했다. 허헛.... 책장에 꽂혀는 있는데, 이 책을 집어들기에는 좀 더 내공이 필요할 듯 싶다.  지금의 기분으로서는, 더 이상 우울해지고 싶지 않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