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에의 강요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김인순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파트리크 쥐스킨트 작품으로 처음 만난 책이다.  처음엔 그의 작품인지도 모르고 도서관에서 집었는데, 얇아서 단숨에 읽겠다 싶어 빌려왔다.  결국 다 보고나서는 소장해야겠다 싶어 다시 주문하게 되었다.

짧은 단편들로 구성된 짧은 책인데 그 재미와 여운은 깊고도 넓었다.

여러 단편들 중 첫번째 단편인 깊이에의 강요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잘못 던진 돌에 개구리는 맞아 죽고,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데, 그 말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우린 너무 많다.

입이 하나고 귀가 둘이니, 듣는 것에 더 공을 들여야겠건만, 그것을 잘하는 사람이 드물다.  예술가들은, 자신들의 창작품을 완성하기 위해서 무수한 공을 들일 것이다.  그런데 그것을 단 몇마디 말로 평가 받고, 또 무수한 사람들이 개인의 판단에 의지하지 않고, 그 평론가의 몇 마디 말에 좌우되어 예술작품을 폄훼한다면 뼈를 깎는 노력으로 창작에 힘을 쓴 예술가는 얼마나 실망이 크고 또 좌절할까.  굳이 예술가로 한정하지 않더라도 우리가 익히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또 얼마나 많은 경우 우리는 생각은 짧고 입은 싼 평론가가 되는 지... 인터넷의 익명성을 이용한 그런 비겁한 입놀림을 떠올리게 하는 내용이었다.

두번째 단편 승부는 아주 유쾌한 작품이다.  본인은 하나도 긴장하지 않은 채 독자만 긴장하게 만들어놓고는 어이 없는 반전으로 우리를 비웃는 그 모습이란. 그러나 속은 듯 해도 속지 않은 것 같은 즐거움이 남아 있으니 기분 나빠할 필요는 없다.

문학적 건망증은 다 읽고 맨 처음 부분을 다시 읽어봐야 한다.  그래야 작품의 맛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을 것.  사실 이런 건망증은 내게도 있는 것 같아 뜨끔했다. 

나로서는 너무 재미있게 읽어 지인에게도 권장했건만, 나와 같은 반응은 돌아오지 않았다.  시쿤둥한 반응에 오히려 내가 의아해하고 말았으니. 

그나저나 사놓고 못 본 향수를 빨리 도전해야 하는데 잔뜩 궁금해 해 놓고 왜 손이 안 가는지 모르겠다.  어느날 불현듯 별안간!  손에 잡을 그 날을 기다려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