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이덕일 / 김영사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덕일 선생님의 인물사 열전 중 하나다.

송시열이란 인물은 사극에서 많이 접했던 이름이다.  지금이야 고구려 열풍으로 조선시대 사극이 별로 인기를 못 끌고 있는 시점이지만 장희빈 등등이 등장하는 내용이었다면 송시열도 등장했을 것이고 학생들에게 물어보아도 정확히 어떤 사람인지는 모르지만 이름은 들어본 적이 있다고 대답한다.

송시열은 어떤 인물이었을까.  조선왕조실록에 그 이름이 가장 많이 등장하는 사람 중 하나이고, 중국에 공자가 있듯 조선의 '송자'라고 칭송되었던 인물이고 국비로 그의 저서가 간행되었을 만큼 죽어서까지 영향력을 떨쳤으며, 그의 문인들이 이후 조선에서 끼친 영향을 모두 돌아보건대, 조선사에서 그 비중이 결코 가볍지 않은 인물이다.

그렇다면 송시열은 훌륭한 인물인가?  글쎄... 유명한 인물인 것은 맞다고 하겠다. 지금도 그를 칭송하며 덕을 기리는 후손과 문인들이 많건만, 어느 고장에서는 개 이름에 붙여져 욕처럼 불릴 만큼 그 이름에 저주를 거는 사람들도 있다.  저자가 송시열에 관한 책을 쓴다고 했을 때 닥쳤던 위험과 압력도 만만치 않다고 한 것을 보면, 가히 죽어서까지 그 위명을 떨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내게 있어 송시열은 답답할 정도로 한우물을 판 사람이고 그래서 어찌 보면 조선의 역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 사람으로 남아 있다.  그가 밟아온 83년 간 인생 여정은 한줄 외길이었고 그래서 그를 비롯한 조선에 슬픈 일이기도 하였다.  그가 죽은 숙종 때를 거슬러 현종, 아니 더 올라가 효종까지 올라가면, 나는 과연 그가 그토록 많은 존경을 받을 만한 인격을 지닌 것인지 의심이 간다.

그의 학문 세계는 깊었다.  그는 게으르지 않았고 지나칠 정도로 근면하고 검소했으며 강직했다.  조선의 선비 정신의 덕목으로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줄을 잘못 섰다.  그는 사대부의 나라 조선의 신하로서 사대부를 위한 정치를 했지, 백성을 위한 정치에 힘쓰지 않았다.  심지어 국난의 위기에 처했을 때에도.

그가 살았던 시간은 지독할 정도로 당파 싸움이 극심했던 때이고, 그 당파 싸움의 한 중간에는 언제나 그가 서 있었다.  그는 산림이라 자처하며 조정에 나가지 않았지만, 언제나 막후 인물은 그 자신이었고, 조선은 사대부 위에 임금은 없어도 사대부 위에 송시열은 존재하는 나라로 전락해 버렸다.

효종의 갑작스러운 죽음, 현종의 급작스러운 죽음 뒤에도 그의 이름은 꼭 끼어 있었다.  그가 명령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는 책임을 피해갈 수 없는 사건의 중심 인물이었던 것이다. (조선왕 독살 사건과 같이 읽어보세요~)

그 대단한 인물 송시열이, 만 열셋의 숙종에게 사정 없이 휘둘릴 때는 차라리 통쾌함마저 느껴졌다.  그는 제대로 적수를 만난 것이다.  우리가 장희빈과의 로맨스로 익히 알고 있는 숙종은 굉장히 정치적 감각이 발달한 인물로서 어린 나이에 즉위하고서 수렴청정도 없이 정사를 한손에 쥐어버린 인물이다.  숙종은 송시열을 대접하기도 하고 몰아치기도 하면서 요리(..;;;)를 하더니, 끝내 원자 책봉 문제로 송시열의 목숨을 거둬버린다.

송시열은 죽음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았다. 여든 셋이나 먹은 노인네가 그 와중에 생에 미련을 가졌을 것 같지는 않다.  성격답게 꼬장꼬장하게 죽어갔으리라.   죽으면서 그의 유언은 두가지였다.  학문의 시작과 끝을 주자로 할 것과, 자신의 관을 덧붙인 널빤지로 하라는 것. (효종의 죽음에 대해서 미안했다는 뜻)

마지막에 양심은 있었던 것일까.  죽어 효종을 만나 뒤늦게라도 사과를 했을까.  하지만 그가 진정 미안해해야 하는 것은 조선이었고, 조선의 백성이었고, 우리의 역사였다.  죽어서도 몰랐을 테지만.

이 책의 말미에는 당시 조선의 사회 경제적 상황에 대한 간결하면서도 제대로 압축한 전망이 나온다.  조선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고, 그 사회의 변화가 어떻게 이어질 지, 그 이유까지도 제대로 제시했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이 왜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인지도 말해주었다. (어찌나 문장이 우수하던지 감탄에 감탄~!!!)

책을 덮으면서 시원함과 동시에 답답함을 느꼈다.  시대상에 대한 안타까움이 답답함으로 등장했으며, 잘 몰랐던 역사적 진실에 다가선 듯한 느낌에 시원함을 느꼈다.

깊이있게 내용을 다뤘기 때문에 아주 대중적인 책은 아니다.  그렇지만 읽게 된다면 후회하지 않을 거라고 감히 자신있게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