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네 집
박완서 지음 / 현대문학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어쩌다가 집게 되었는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하여간 읽기 시작한 순간 끝을 보지 않고는 놓을 수가 없었다. 폭발적인 재미라기 보다는 잔잔하면서 끈끈한 미련이 남아서 자꾸 다음 장을 기대하게 되었던 것이다.

처음엔 저자의 자서전 격 이야기인가 했다. 시대 배경이라던가 주인공의 학력이라던가 기타 등등에서 작가 '박완서'와 겹치는 이야기가 많아서 말이다.

그러다가 이 책이 픽션이란 사실을 새삼 실감하면서 조금 김이 새버렸다. 그래도 아마 상당수는 자신의 이야기가 담겨 있지 않을까 중얼거리긴 했지만.

주인공은 지극히 평범한 여성이었다. 평범하다지만, 나름 야심?도 있었고 꿈도 있었고 욕심도 있었다.

적당히 사람을 저울질도 했고, 발칙한 변칙도 해보마 결심도 했었다. 외도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마음 속 불은 이미 지펴진 상태(이렇게 말하고 보니 뭔가 크게 바람난 것처럼 들린다..^^;;;)였다.

'전쟁' 때문이었을까. 왜 그 모든 이야기들이 '향수'처럼 느껴졌을까.  아마 주인공이 거기서 더 앞으로 나갔다고 하더라도 쉽게 손가락질은 못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가풍을 노래하며 중인 집안이라 그렇다고, 뼈대 있는 집안은 그렇지 않다고 입으로만 생색내는 친정 어머니도, 얄밉다기보다는 그 시대를 아버지 없이 남편 없이 살아야 하는 여인의 살아남기 위한 '집념' 내지 '지혜'로 비쳐졌다.

너무 재미 없고 무뚝뚝하기까지 한, 그리고 어찌 보면 답답해 보이기도 한 은행원 남편은, 그러나 그 시대를 전제로 한다면 누구보다 유능한 남편이기까지 했다.

그래서, 작가의 첫사랑은 더 특별해 보이고 애틋해 보였다. 제목의 '그 남자네 집'도 은밀하면서 숨은 사연이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을 불러준다.

박완서씨의 글을 아주 많이 접해본 것은 아니지만, '내공'이 보통 아니라는 느낌이 들곤 했다. 작가 자신은 흥분하지도 않고 굳이 강조하지도 않지만, 글의 맥락 속에서 독자는 작가가 주고자 하는 찌릿한 전율 비슷한 것을 갖게 되니까.

그래서, 작가 박완서는 참으로 노련한 글쟁이란 생각이 든다.  건강하셔서 오래오래 많은 글을 써 주셨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